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한비자(韓非子)에 대하여

 

- 사기열전(史記列傳) -

 

한비(韓非)는 한(韓)나라의 여러 공자(公子)중의 한 사람이다. 형명법술(刑名法術)의 학문을 좋아했다. 그 귀착점은 황제(黃帝)·노자(老子)에 근본한 것이다.

한비는 말더듬이로 말은 잘하지 못했다. 그러나 글은 잘 지었다. 이사(李斯)와 함께 순경(荀卿)을 스승으로 섬겼는데, 이사는 자신의 재주가 한비를 따르지 못한다고 말했다.

한비는 조국 한나라가 땅을 잃고 국력이 쇠약해져 가는 것을 보고, 자주 한왕에게 글을 올려 진언하였으나, 한왕은 그 진언을 받아들이지 않았다. 이에 한비는 한왕이 나라를 다스리는데 있어서, 법제를 닦아 밝히고, 권세를 잡아 그 신하를 조종하며, 나라를 부유하게 만들고 군대를 강력하게 하며, 인재를 구하여 현명하고 유능한 인재를 임용하는데 힘쓰지 않고 도리어 나라를 좀먹는 무리를 등용하여 그들을 공로 있고 실적이 있는 사람들 위에 두는 것을 좋지 않게 생각했다. 유학자는 글로써 국법을 혼란하게 만들고, 협사(俠士)는 무용(武勇)한 것을 가지고 나라의 금령을 범한다. 나라가 편안할 때는 명성과 남의 칭찬이나 좋아하는 사람들을 총애하고, 나라에 위급한 때에는 무장한 군인을 사용한다. 지금 나라에서 양성하고 있는 사람들은 위급할 때에는 쓸모없는 사람들이고, 위급할 때 소용되는 사람들은 평소에 양성하는 사람들이 아니다. 청렴하고 정직한 사람들이 사악하고 바르지 않은 신하들 때문에 등용되지 않는 사태를 슬퍼하고 또 지나간 옛날의 성패득실의 변화를 살펴보면서, 그는 고분(孤憤), 오두, 내저설(內儲說), 외저설(外儲說), 설림(說林), 세난(說難)등 십여만언(十餘萬言)의 글을 지었다.

그러나 한비는 남을 설득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세난편을 지어 매우 자세하게 설득의 어려움을 언급하고 있다. 그러나 한비 자신은 진나라에서 비명에 죽게 되어 스스로 그가 말한 위험에서 벗어나지 못했다.

 

韓非子

중국 전국시대 말기 사상가 한비(韓非)와 그 문류(門流)의 저서. 한자(韓子)라고 불렸으나, 송나라 이후 당나라 한유(韓愈)의 한자와 혼동을 막기 위해 변경되었다. 법의 지상(至上)을 강조한 법가사상(法家思想)의 대표적 고전으로, 한비가 죽은 뒤 BC 2세기말 전한(前漢)시대에 지금의 형태로 정리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국 한나라의 쇠퇴를 걱정하여 군권(君權)의 강화와 부국책을 서술한 것으로, 내용상 6부분으로 나뉜다. ① 한비의 자저(自著)로 추정되는 오두, 현학(顯學), 고분(孤憤) 등으로 인성과 세계에 대한 인식을 근거로 군주의 통치술을 논했다. 인간은 기본적으로 이기적이고 세상도 끊임없이 변화하므로 군주는 시세에 즉시 대응하는 방법을 배워야 하는데, 특히 인간의 선한 면만을 강조한 유가(儒家)나 묵가(墨家)의 주장은 공론에 지나지 않는다고 했다. 또한 도덕을 근거로 비현실적인 말장난만 늘어놓는 학자, 미묘한 국제관계를 이용해 군주를 혼란하게 하는 변설자, 소영웅주의에 빠진 협객, 그리고 군주 측근과 상공업자를 사회를 해하는 다섯 부류의 사람(오두)으로 규정하고, 부국강병을 위해서는 중농억상책을 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② 한비 문류의 강학·토론으로 추정되는 난세, 문변, 정법 등이 있다. 특히 난세와 정법은 유가의 덕치론은 물론 법가에 속하는 신자(愼子)·상자(商子)의 견해까지도 비판, 수정하였는데 이 책이 법가학설의 집대성이라 일컫는 연유도 여기에 있다. ③ 전국시대 말기부터 한(漢)나라 때까지 한비 후학들의 정론인 유도(有度), 팔간(八姦), 심도(心度), 제분(制分) 등은 신하를 다스리는 법(群臣統御)과 법의 운용(法術)에 관해 자세히 적고 있다. ④ 도가(道家)의 영향을 받은 한비 후학들의 논저인 주도(主道), 양각, 해로(解老), 유로(喩老) 등의 4편은 도가의 허정(虛靜)을 도입하여 군주의 통치술을 논했다. ⑤ 한비학파 이외의 논저인 초견진(初見秦), 존한(存韓)은 한비의 사적(事蹟)에 결부시켜 적고 있다. ⑥ 한비학파가 전한 설화집 설림(說林), 내외저설(內外儲說), 십과(十過) 등은 상고(上古)로부터의 설화 300여 가지를 소개하고 편견적인 인간관과 법률적 강제를 강조함으로써 유가로부터 애정을 무시한 냉혹한 술책이라는 비난을 받았다. 그러나 유가·법가·도가·명가(名家) 등의 사상을 집대성하였으며, 법을 독립된 고찰 대상으로 삼아 유물론적이며 실증주의적인 방법에 의해 독자적인 사상체계를 수립한 점은 높이 평가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