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아참[衙參] 벼슬아치가 아침저녁으로 조정에 모이는 일을 말한다.

아첨[牙籤] 아첨은 장서(藏書)에 대한 표제로서 찾기에 편리하도록 한 것이다.

아촌[鴉村] 아촌은 반포(反哺)도 하지 못하는 불효한 까마귀가 사는 마을이란 뜻이다.

아축[阿丑] 아축은 헌종 때의 중관(中官) 이름으로 연기(演技)를 아주 잘하였다. 성화 17(1481)에 태감(太監) 왕직(汪直)이 권세를 잡자 도어사(都御史) 왕월(王越)과 병부 상서 진월(陳鉞) 등이 그에게 아부하였다. 어느날 아축이 술취한 사람의 모습을 하고는 헌종 앞에서 연기를 하였는데, 곁에 있던 사람이 어가(御駕)가 이르렀다.”고 하니, 아축은 하던 짓을 그대로 하다가 왕 태감(汪太監)이 왔다.”고 하자 즉시 놀라서 달아나는 시늉을 하면서 오늘날에는 단지 왕 태감이 있는 줄만 안다.”고 하였다. 그리고 또 왕직의 모습을 하고 도끼 두 개를 손에 들고 황제 앞으로 나아가서는 내가 가진 병기는 이 두 개의 도끼뿐이다.”라 하였다. 곁에 있던 사람이 무슨 도끼냐고 물으니 왕월(王越)과 진월(陳鉞)이다.”라고 하였다. 그러자 왕이 빙그레 웃으면서 점차 왕직의 전횡을 깨달았으며, 그 뒤 18년에 드디어 왕직을 파면시키고, 왕월과 진월을 유배보냈다. <史略 卷九 憲宗純皇帝>

아취[鴉觜] 새의 부리와 같이 예리하게 생긴 농기구, 곧 호미를 말한다.

아치고절[雅致高節] 고상하게 운치가 있는 높은 절조. ‘매화의 우아한 풍치를 이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