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양대[陽臺] 양대는 남녀가 성교하는 것을 말한다. 초 양왕(楚襄王)이 일찍이 고당(高唐)에서 놀다가 낮잠을 잤는데, 꿈에 한 부인이 와서 저는 무산(巫山)의 여자로서 임금님이 여기 계시다는 소문을 듣고 왔으니, 침석(枕席)을 같이해 주십시오.” 하므로, 임금은 하룻밤을 그와 함께 잤다. 그 이튿날 아침에 부인이 떠나면서 저는 무산의 양지쪽 높은 언덕에 사는데 매일 아침이면 구름이 되고 저녁이면 비가 됩니다.” 하였다는 고사이다.

양대[陽臺] 해가 잘 비치는 대.

양대녀[襄臺女] 남녀(男女)가 서로 만나 즐기는 곳을 양대라 한다. 초 회왕(楚懷王)이 운몽(雲夢)에 가서 노는데, 한번은 꿈에 신녀(神女)가 나타나 자칭 무산신녀(巫山神女)라 하므로 그곳 산 밑에다 양대(襄臺)를 만들었다 한다.

양대몽[陽臺夢] 무산(巫山) 신녀(神女)의 고사를 말한 것이다. 송옥(宋玉)의 고당부서(高唐賦序)첩은 무산의 남쪽, 고구(高丘)의 아래 있으며 아침에는 조운(朝雲)이 되고 저물녘에는 행우(行雨)가 됩니다.” 하였다.

양대불귀지운[陽臺不歸之雲] 한 번 정교(情交)를 맺고 다시는 만나지 못하는 것을 비유하여 말한다.

양대성일몽[陽臺成一夢] 양대는 무산지몽(巫山之夢)과 같은 뜻으로, 즉 남녀의 정교(情交)를 이른다. ()나라 양왕(襄王)이 일찍이 고당(高唐)에서 놀다가 낮잠을 자는데, 꿈에 한 부인이 와서 저는 무산(巫山)의 여자로서 고당의 나그네가 되었던 바, 임금님이 여기 계시다는 소문을 듣고 왔으니, 침석(枕席)을 같이해 주십시오.” 하므로 임금은 하룻밤을 같이 잔 뒤, 이튿날 아침에 부인이 떠나면서 저는 무산의 양지쪽 높은 언덕에 사는데, 매일 아침이면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됩니다.”라고 하였다는 고사이다. <宋玉 高唐賦>

양대우[陽臺雨] 초 회왕이 고당(高唐)에서 놀다가 낮잠을 자는데 꿈에 어떤 여자가 와서 저는 무산의 여자인데 침석(枕席)을 원합니다.” 하므로 동침을 하였는데 떠나면서 저는 양대의 아래에서 아침에는 구름이 되고 저녁에는 비가 됩니다.”고 하였다는 고사에서 인용된 것이다. <宋玉 高唐賦>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