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학서[鶴書] 임금이 은사(隱士)를 부르는 조서(詔書)를 학서(鶴書)라 하는데, 고대의 예서(隸書) 자체(字體)에 학두서(鶴頭書)라는 자체가 있는데, 임금이 은사를 부르는 데는 학두서(鶴頭書)를 쓴다.

학서[鶴書] 조정에서 보내는 사면장을 말하는데, 죄수를 사면할 때의 행사에 썼던 때문에 온 말이다. 송사(宋史) 예지(禮志)에 “누(樓)에 납시어 사면하고 비단실로 목학(木鶴)을 묶어 놓고 줄을 누 아래로 늘여 놓으면 선인(仙人)이 목학을 타고 제서(制書)를 받들고 내려간다.”라고 하였다.

학성[鶴城] 울산(蔚山)의 옛 이름이다.

학성[鶴城] 학성은 안변(安邊)의 고호(古號)이다.

학수경[鶴殊脛] 장자(莊子) 변무(騈拇) 편에, 오리 다리는 짧고 학의 다리는 길지만 각기 그 본성이라 하였다.

학수고대[鶴首苦待] 학처럼 목을 길게 빼고 애타게 기다림. 사람이나 어떤 상황을 애태우며 기다림을 말한다.

학습수비[學習數飛] 배워 얻은 것을 수시로 익히기를 어린 새가 날기를 익히듯 한다는 것임. 논어(論語) 學而 “배워 얻은 것을 수시로 익히면 또한 기쁜 일이 아닌가.”라고 했는데, 그 주에 “익힘은 새가 자주 나는 것이니 배워서 마지않는 것이 새가 자주 낢과 같다.”고 하였다.

학야[鶴野] 옛날 요동(遼東) 사람인 정령위(丁令威)가 선술(仙術)을 배워서 뒤에 학(鶴)이 되어 돌아와 화표주(華表柱)에 앉아 울었으므로 요동을 ‘학 벌판[鶴野]’이라 한다.

학야[鶴野] 학야는 만주 벌판을 가리키는 말로, 최보(崔溥)의 표해록(漂海錄)에 “광녕(廣寧)의 동쪽, 해주위(海州衛)의 서쪽, 요동(遼東)의 북쪽에 길게 뻗어 들어간 큰 들판이 있으니, 이곳이 바로 학야(鶴野)라고 하는 곳이다.”라는 말이 있다.

학어[鶴馭] 태자의 수레로, 흔히 태자의 별칭으로 쓰인다.

학어승구[鶴馭昇緱] 주 영왕(周靈王)의 태자인 왕자 교(王子喬)가 선인(仙人)이 되어 구산(緱山)에서 백학(白鶴)을 타고 하늘로 올라갔다는 전설이 전한다. <列仙傳 卷上 王子喬>

학여불급[學如不及] 배움은 언제나 모자라다고 생각하라. 학문은 쉬지 않고 노력해도 따라갈 수 없으니, 따라잡기 위해서는 늘 시간을 아껴 더욱 정진해야 한다는 뜻이다.

학여전[鶴與錢] 옛날에 네 사람이 모여서 각기 자기의 소원을 말하는데, 한 사람은 말하기를 “나는 돈 만 관(萬貫)을 가지기가 소원이다.”하였으며, 한 사람은 “나는 신선이 되어 학을 타고 하늘에 오르기가 소원이다.”하고 또 한 사람은 “양주자사(楊州刺史)가 되기가 소원이다.”하니, 한 사람은 “나는 돈 만 관을 허리에 두르고 학을 타고 양주로 가겠다.”하였다.

학역구[學易瞿] 당 현종(唐玄宗) 때 태사감(太史監)을 지냈던 천축(天竺) 사람인 구담 실달(瞿曇悉達)을 말한다. 주역(周易)에 조예가 깊어 대당개원점경(大唐開元占經) 110 권을 저술하였다.

 

반응형

'옛글[古典]산책 > 옛글사전'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거부[閒居賦], 한걸[寒乞], 한계승추[韓洎繩樞], 한고[漢錮], 한고연패[漢皐捐佩], 한곡편양휘[寒谷徧陽暉]  (0) 2024.04.17
한[豻], 한각반렴산[閑却半簾山], 한간마도[韓幹馬圖], 한강백[韓康伯], 한강투석[漢江投石]  (0) 2024.04.16
학창의[鶴氅衣], 학철부어[涸轍鮒魚], 학포번[學圃樊], 학학[嗀嗀], 학해[學海], 학화웅담[學和熊膽]  (0) 2024.04.15
학저[鶴邸], 학적천[鶴吊阡], 학전주[鶴錢州], 학정[鶴頂], 학제[學製], 학주[鶴柱], 학주이[壑舟移]  (0) 2024.04.12
학원유약[鶴猿有約], 학익진[鶴翼陣], 학일구[貉一丘], 학자탁련[鶴觜拆蓮], 학장부단[鶴長鳧短], 학장주[壑藏舟]  (0) 2024.04.11
학무[鶴舞], 학부[學蔀], 학부[涸鮒], 학사[壑蛇], 학사연[學士宴], 학사제염[學舍虀鹽], 학상선[鶴上仙]  (1) 2024.04.11
학교[鶴翹], 학구소붕[鷽鳩笑鵬], 학두서[鶴頭書], 학랑배조[謔浪排調], 학려진병산[鶴唳秦兵散], 학령[鶴翎]  (0) 2024.04.03
하후탄주[夏后呑珠], 하휴간[夏畦艱], 학가[鶴駕], 학개[鶴蓋], 학경[鶴經], 학경불가단[鶴脛不可斷]  (0) 2024.04.02
하학상달[下學上達], 하해지택[河海之澤], 하혜관비[下惠官卑], 하황[蝦荒], 하후기의[夏侯妓衣]  (2) 2024.03.29
하탁[荷橐], 하탑[下榻], 하택거[下澤車], 하통[荷筩], 하표[霞標], 하풍죽로[荷風竹露] 하필성장[下筆成章]  (0) 2024.03.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