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열렬[烈烈] 열렬은 공이 빛난다는 뜻으로 서경(書經) 군아(君牙)크게 나타났다 문왕의 법이여! 크게 계승하였다 무왕의 공렬이여![丕顯哉 文王謨 丕承哉 武王烈]”라 한 데서 나온 말이다.

열렬[冽冽] 추위가 혹독한 모양, 차가운 바람이 사납게 부는 모양이다.

열림[說霖] () 고종(高宗)이 현상(賢相) 부열(傅說)을 얻어 나라가 잘 다스려졌다. 고종이 부열에게 명하는 사()만일 해가 너무 가물거든, 너를 써 장마비를 지으리라.[若歲大旱 用汝作霖雨].”라 하였다. <書傳 說命>

열반연[熱飯宴] 가난한 집에서 과거에 급제했을 때 하객들에게 간단히 베푸는 잔치. 가난한 집안의 자제가 급제하면 갑자기 몰려오는 하객들을 대접할 겨를이 없어 백반만을 대접하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열배보국[涅背報國] 악비는 등에다가 정충보국(精忠報國)이란 네 글자를 새기고 있었다.

열백서오[列柏栖烏] 어사대(御史臺)의 삼엄한 분위기를 표현한 말이다. () 나라 때 어사대 부중(府中)에 잣나무를 심었는데, 까마귀 수천 마리가 새벽에 날아갔다가 저녁에 돌아와 그 나무에 서식했다는 고사가 전해 온다. <漢書 朱博傳通典 職官 御史臺>

열백성[裂帛聲] 비단 찢는 소리란 곧 현악(絃樂) 소리를 가리킨 것으로, 백거이의 비파행(琵琶行)네 줄의 한 소리가 비단을 찢는 것 같네.[四絃一聲如裂帛]”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열백하청창[列柏何靑蒼] 옛날 어사대(御史臺)에는 시어사(侍御史)의 대원(臺院)과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의 전원(殿院)과 감어사(監御史)의 찰원(察院) 3()이 있었는데, 어사대의 부중(府中)에 잣나무들이 줄 지어 서 있어 늘 야조(夜鳥) 수천 마리가 서식했다는 고사가 전해 온다. <通典 職官 御史臺>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