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신조[辛朝] 고려 말의 우(() 두 왕을 중 신돈(辛旽)의 아들이라 하여 조선조에 와서 그 당시의 고려조를 신조(辛朝)라고 혹평하는 자들이 있었는데, 그 후 추강(秋江) 남효온(南孝溫)이 금오산(金烏山)을 지나면서 읊은 시에도 신조의 주서였던 길야은[辛朝注書吉治隱]”이라는 구절이 있다. <治隱集 言行拾遺 卷下>

신종모루[晨鍾暮漏] 세월이 덧없이 흘러감을 뜻한다.

신좌모[申佐模] 자는 좌인(左人), 호는 담인(澹人). 벼슬이 이조참판에 이르렀다. 강직한 성격으로 인해 조정에 싫어하는 사람이 많았다.

신주[神州] 중국을 말한다. 전국 시대 때의 학자 추연(鄒衍)이 중국을 신주라고 하였는데, 그 뒤에는 중국의 별칭으로 쓰여지게 되었다.

신주환어수[臣主歡魚水] () 나라 유비(劉備)가 제갈량(諸葛亮)을 얻은 뒤에 내가 공명(孔明)을 얻은 것은 고기가 물을 얻음과 같다.”고 하였다.

신지무의[信之無疑] 믿어 의심함이 없음.

신지식곡[神之式穀] 시경(詩經)신이 들어서 녹으로 네게 주도다.[神之能之 式穀以女]”라고 하였다.

신처[新郪] 지금의 안휘성 태화현(太和縣) 서북쪽의 처구(郪丘).

신천[新阡] 새로 쓴 무덤.

신천옹[信天翁] 새의 이름. 제 스스로 고기를 잡을 줄 모르고 남이 잡은 고기가 떨어지기만을 기다리는 새라고 하는데, 스스로 창작할 줄은 모르고 남의 작품의 나머지나 모아서 글을 짓는 것에 비유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