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상길 시집

-

저 너머

종이책전자책

 

그리운 것은 다 저 너머에 있고

소중한 것은 다 저 너머로 가네

애써 또 다른 저 너머를 그리다

누구나 가고 마는 저 너머 가네

반응형

알 껍질을 깨 주시면

 

-16줄탁 -

 

<수시>-----------------------------

지극한 도에는 샛길이 없고, 그 도에 있는 사람에게는 감히 다가가기 힘들다. 정법은 보고 들을 수 없으며, 말이나 글과는 아득히 떨어져 있다. 만약 가시밭을 헤치고 나가, 부처님과 조사의 밧줄을 풀어 버리고, 은밀한 경지를 얻게 되면, 온 하늘이 꽃을 바치려 해도 길이 없고, 외도가 엿보려 해도 문이 없다. 하루종일 일을 해도 한 일이 없고, 하루종일 설법해도 한 가르침이 없다. 자유자재이어서, 줄탁의 솜씨를 펴고, 살활의 칼을 쓸 수가 있다. 비록 그렇다 해도, 교화의 일에 종사하게 되면, 한 손은 들어올리며 한 손은 잡을 줄 알아야 조금은 쓸만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본분의 일을 할 때에는 그런 것은 거의 쓸데가 없는 것이다. 이 본분의 일은 어떻게 지어야 하는가.

 

<본칙>-----------------------------

어떤 스님이 경청스님에게 물었다.

학인이 알에서 깨어날 준비가 되어 있으니, 톡 쪼아 주십시오.”

경청스님이 말했다.

그렇게 하면 과연 살 수 있겠느냐?”

그 스님이 말했다.

살아나지 못한다면 세상 사람들의 웃음거리가 되겠지요.”

경청스님은 말하였다.

역시 형편없는 놈이로구나.”

 

<>-------------------------------

옛 부처에게는 뚜렷한 가풍이 있으니

함부로 대들었다가는 혼쭐이나 난다네

어미와 새끼도 서로 모르는 일을

누가 알아 동시에 쫀단 말인가

톡 톡 쪼으면 깨어나련만

아직도 껍질 속에 갇혀만 있구나

힘껏 두드려 깨어주려 해도

천하 납승들 헛된 수작 싫다네

 

-16啐啄 -

<垂示> 垂示云. 道無橫徑. 立者孤危. 法非見聞. 言思逈絶. 若能透過荊棘林. 解開佛祖縛. 得箇穩密田地. 諸天捧花無路. 外道潛窺無門. 終日行而未嘗行. 終日說而未嘗說. 便可以自由自在. 展啐啄之機. 用殺活之劍. 直饒恁麽更須知有建化門中一手抬一手搦. 猶較些子. 若是本分事上. 且得沒交涉. 作麽生是本分事. 試擧看.

<本則> . 僧問鏡淸. 學人啐. 請師啄. 淸云. 還得活也無. 僧云. 若不活遭人怪笑. 淸云. 也是草裏漢.

<> 古佛有家風. 對揚遭貶剝. 子母不相知. 是誰同啐啄. 啄覺猶在殼. 重遭撲. 天下衲僧徒名邈.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