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영[咸英], 함우주주[銜羽周周], 함이[含飴], 함인시인[函人矢人], 함장석[函丈席], 함제[含睇]
❏ 함양[咸陽] 진(秦) 나라 서울이었는데 항우(項羽)가 불을 놓아서 모두 태워버렸다.
❏ 함영[含景] 초목(草木)의 꽃.
❏ 함영[咸英] 황제(黃帝)가 만든 음악인 함지(咸池)와 제곡(帝嚳)이 만든 음악인 오영(五英)을 합칭한 말이다.
❏ 함우주주[銜羽周周] 주주(周周)는 새의 이름인데, 이 새는 머리가 무겁기 때문에 하수(河水)에서 물을 마시려면 반드시 넘어지므로, 언제나 깃을 입에 물고 물을 마신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 함유일[咸有一] 함유일 고려(高麗) 명종(明宗) 때 공부상서(工部尙書)를 지냈는데, 그는 일찍이 의종(毅宗) 때 내시(內侍)에 들어가 교로도감(橋路都監)을 관장하면서 무당들을 교외로 추방하고, 음사(淫祠)를 불지르는 등 미신 타파에 힘썼다.
❏ 함이[含飴] 후한(後漢)의 마황후(馬皇后)가 “나는 엿이나 먹으면서 손자나 데리고 놀겠다. 더 이상 정사에는 간여하고 싶지 않다.”라고 한 데서 나온 말로, 늙은이의 만년의 안락한 생활을 뜻한다. 엿을 머금는다는 것은 곧 말을 하지 않겠다는 뜻으로도 쓰인다. <後漢書 馬皇后紀>
❏ 함인시인[函人矢人] 함인은 갑옷과 투구를 만드는 사람이고, 시인은 화살을 만드는 사람인데, 맹자(孟子)가 이르기를 “시인이 어찌 함인보다 인하지 않으랴마는, 시인은 오직 사람을 상하지 못할까 걱정하고, 함인은 오직 사람을 상할까 걱정한다.[矢人豈不仁於函人哉 矢人唯恐不傷人 函人唯恐傷人]”라고 하였다. <孟子 公孫丑上>
❏ 함장[函丈] 스승에 대한 경칭으로 스승이 제자 가르치는 자리를 말한다. 함(函)은 용납한다는 뜻이니 스승과 제자의 앉은자리의 거리가 한 발쯤 된다는 말이다.
❏ 함장[含章] 주역(周易) 곤괘(坤卦)에 함장(含章)이란 말이 있는데, 아름다움[章]을 포함[含]한다는 뜻이다.
❏ 함장석[函丈席] 지팡이를 용납하는 자리로, 후에 스승을 함장이라 일컬었으니 강석(講席)이라는 뜻과 같다.
❏ 함장전[含章殿] 궁궐(宮闕)의 내전(內殿)을 말한다. 송 무제(宋武帝)의 딸 수양공주(壽陽公主)가 함장전 처마밑에 누워있는데 매화(梅花)가 공주의 이마 위에 떨어져 오출화(五出花)를 이루었다 한다.
❏ 함제[含睇] 정을 품고 곁눈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