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학창의[鶴氅衣], 학철부어[涸轍鮒魚], 학포번[學圃樊], 학학[嗀嗀], 학해[學海], 학화웅담[學和熊膽]

하늘구경 2024. 4. 15. 12:56
반응형

학참군[郝參軍] 진(晉)나라 때 환온(桓溫)의 남만 참군(南蠻參軍)을 지낸 학륭(郝隆)을 가리킨다. 7월 칠석(七夕)에는 옷가지를 햇볕에 말리는 풍속이 있었는데, 학륭은 대낮에 누워서 자신의 뱃속에 들어 있는 책들을 햇볕에 쪼였다는 고사가 전한다. <世說新語 排調>

학창[鶴氅] 학창은 새털로 만든 갖옷에 대한 미칭이다. 세설신어(世說新語) 기선(企羨)에 “맹창(孟昶)이 영달하기 이전에 그의 집이 경구(京口)에 있었다. 그가 일찍이 보니 왕공(王恭)이 학창의를 입고 높은 수레에 탔는데 때마침 눈발이 약간 뿌리고 있었다. 맹창은 울타리 사이로 그 광경을 엿보고 감탄하기를 ‘이는 참으로 신선 속의 인간이다.[此眞神仙中人也]’ 하였다.”는 말이 나온다.

학창의[鶴氅衣] 신선들이 입는 새의 깃털로 만든 옷으로, 도포(道袍)를 뜻한다. 진서(晉書) 왕공전(王恭傳)에 “왕공이 언젠가 학창의를 입고 눈밭을 거닐었는데 맹창(孟昶)이 이를 엿보고는 ‘참으로 신선 세계 속의 사람이다.[此眞神仙中人也]’라고 찬탄했다.”고 하였다.

학철[涸轍] 수레바퀴가 지나간 자국에 괸 물에서 허덕이는 붕어를 이른 말로 매우 곤궁한 처지를 말한다. <莊子 外物>

학철고어[涸轍枯魚] 곤경에 처해 원조를 급히 청하는 상황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수레바퀴로 패인 야트막한 웅덩이[涸轍]의 물고기가 원조를 청하다 못해 “건어물 가게에서 나를 찾는 것이 좋을 것이다.[曾不如早索我於枯魚之肆]”라고 한탄한 고사에서 나온 것이다. <莊子 外物>

학철부어[涸轍鮒魚] 남의 도움 없이는 살아가기 어려운 곤궁한 처지를 가리킨다. 장자(莊子) 외물(外物)에 “장자가 감하후(監河侯)를 찾아가 곡식을 빌려 하자, 그는 백성에게 세금을 거두어 빌려주려 하였다. 장자는 성을 내면서 ‘나는 오다가 길에서 부르는 이가 있기에 돌아보니, 수레바퀴 속의 고인 물[涸轍]에 있는 붕어였습니다. 나는「붕어야! 왜 나를 부르는가?」하고 물었더니, 붕어는「나는 동해(東海)의 파신(波臣)인데, 그대는 나에게 한 말 [斗]의 물을 주어 살게 할 수 없겠는가?」하였습니다. 나는「좋다! 나는 오월(吳越)의 왕을 찾아가는 길이니, 서강(西江)의 물을 끌어다 주마.」하자, 붕어는 성을 내면서「나는 내가 늘 있던 물이 아니면 싫소. 나는 한 말의 물만 있으면 충분한데 그대는 이렇게 말하니, 차라리 나를 마른 생선 가게에서 찾는 것이 나을거요.」했습니다.’라고 하고는 받지 않았다.”고 하였다.

학철어[涸轍魚] 장자(莊子) 외물(外物) 편에 나오는 말로, 수레바퀴 자국에 괸 물에 있는 붕어처럼 곤경에 처하여 애타게 구원을 기다리는 사람을 비유하는 말이다.

학포번[學圃樊] 번지(樊遲)는 공자의 제자로 일찍이 공자에게 벼를 심는 방법과 채전[圃]을 가꾸는 방법을 물은 적이 있다. <論語 子路>

학포소인수[學圃小人須] 수(須)는 공자(孔子)의 제자 번지(樊遲)의 이름이다. 논어(論語) 자로(子路)에 “번지가 농사를 배우려 하자, 공자가 소인이로구나 번수여, 예(禮)와 의(義)와 신(信)을 좋아하면 사방 백성들이 복종하지 않는 이가 없을 텐데 왜 농사를 짓고 싶어하느냐.”라고 하였다.

학하소지여[學何所至與] 배움이 어느 곳에 이르렀는가?

학학[嗀嗀] 구역질하는 모양, 토하는 소리.

학학[嗃嗃] 엄하고 매우 심한 모양.

학해[學海] 학해는 학문의 바다로, 학문의 길이 바다처럼 가없음을 말한다.

학화웅담[學和熊膽] 당(唐) 나라 때 유중영(柳仲郢)이 어려서 공부할 적에 그의 모친 한씨(韓氏)가 일찍이 약(藥)에다 웅담을 섞어 조제하여 중영에게 먹여서 건강을 돌봐주었던 데서 온 말이다. <唐書 柳仲郢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