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학원유약[鶴猿有約], 학익진[鶴翼陣], 학일구[貉一丘], 학자탁련[鶴觜拆蓮], 학장부단[鶴長鳧短], 학장주[壑藏舟]

하늘구경 2024. 4. 11. 16:53
반응형

학원유약[鶴猿有約]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고 산속에 은거해 살 생각을 하였다는 뜻이다. 육조(六朝) 때 송(宋) 나라의 공치규(孔穉圭)가 자신과 함께 북산(北山)에 은거하던 주옹(周顒)이 벼슬길에 나선 것을 못마땅하게 여겨 지은 북산이문(北山移文)에 “향초로 엮은 장막은 텅 비어 학은 밤마다 원망의 울음 울고, 산인(山人)이 떠나고 없어 원숭이는 놀라서 우는구나.”라고 하였다. <古文眞寶 後集>

학이불사즉망[學而不思則罔] 배우기만 하고 생각하지 않으면 그물에 갇힌 듯이 더 이상의 발전이 없다.

학이시습지불역열호[學而時習之不亦說乎] 배우고 때때로 익히면 또한 기쁘지 아니한가?

학이지지[學而知之] 배워서 앎.

학익진[鶴翼陣] 학익진은 학이 날개를 펴듯이 좌우로 길게 포위하는 진법(陣法)이다.

학일구[貉一丘] 한(漢) 나라 양휘(楊揮)의 말에 “예와 이제가 한 언덕의 담비와 같다.”고 하였으니, 동류(同類)란 말이다.

학자여우모성자여린각[學者如牛毛成者如麟角] 배우는 사람은 소의 털과 같이 많고, 이룬 사람은 기린의 뿔과 같이 드물다.

학자탁련[鶴觜拆蓮] 옛날 희극(戲劇) ‘학연화대(鶴蓮花臺)’에서 두 동녀(童女)가 연꽃 봉오리 속에 들어앉아 있다가 사람이 분장한 학이 나아가 주둥이로 쪼으면 동녀들이 깡충 뛰어나와 춤을 춘다. <樂學軌範>

학장부단[鶴長鳧短] 장자(莊子) 병무(騈拇)에 “오리 다리가 비록 짧아도 이어주면 걱정을 하고, 학의 다리가 비록 길어도 잘라주면 슬퍼하는 것이니, 그러므로 천성은 길어도 자를 것이 아니요 짧아도 이을 것이 아니다.”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학장주[壑藏舟] 사물이 끊임없이 변화하고 바뀌는 것을 말한다. 장자(莊子) 대종사(大宗師)에 “배를 골짜기에 감추어 두고 어살을 연못 속에 감추어 두면 든든하게 감추었다고 할 만하다. 그러나 밤중에 힘 있는 자가 그것을 짊어지고 달아날 수도 있을 것인데, 어리석은 자들은 그것을 알지 못한다.”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