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하자성혜[下自成蹊], 하장[霞漿], 하정주황[夏鼎周璜], 하조대[河趙臺], 하조장인[荷蓧丈人], 하주[賀鑄]

하늘구경 2024. 3. 26. 11:06
반응형

하자성혜[下自成蹊] 사람들이 자연히 사모하여 찾아옴. 사마천(司馬遷)이 한(漢) 나라 장군 이광(李廣)의 인품을 극찬하면서 “복사꽃과 오얏꽃이 스스로 말하지는 못해도, 사람들이 좋아하여 찾아오기 때문에 그 나무 밑에는 절로 길이 이루어지게 마련이다.[桃李不言 下自成蹊]”라고 평한 고사에서 비롯된 것이다. <史記 李將軍列傳>

하잔여기산[霞殘餘綺散] 사조(謝眺)의 시에 “여하산성기(餘霞散成綺)”라는 귀절이 있다.

하장[霞漿] 하장은 신선이 먹는다는 선약(仙藥)이다.

하장군[賀將軍] 명 나라의 총병관(摠兵官) 하세현(賀世賢)으로, 심양이 함락되면서 전사하였다. <明史 卷271>

하절[下節] 채찍을 당기다.

하정주황[夏鼎周璜] 하우씨(夏禹氏)의 구정(九鼎)과 주 나라의 패옥처럼 시문이나 품격이 지금 세상과 달리 고풍(古風)스럽다는 말이다.

하조대[河趙臺] 하씨(河氏) 집안의 총각과 조씨(趙氏) 집안의 처녀 사이의 사랑에 얽힌 일화에서 비롯되었다는 설과, 고려 말엽 하륜(河崙)과 조준(趙浚)이 숨어 살았기 때문에 그 명칭이 유래되었다는 등의 설이 있다.

하조장인[荷蓧丈人] 조(蓧)는 제초를 위해 대나무로 만든 농구다. 장인(丈人)은 노인에 대한 존칭이다. 공자의 일행과 헤어지게 된 자로가 밭에서 일하던 농부 즉 하조장인에게 공자의 행방을 물었다. 하조장인은 공자와 그 일파는 일하지도 않으면서 공론만 일삼고 있다고 비난했다. 장저와 걸익, 하조장인 등은 형식에만 얽매이고 백성들의 생산활동을 등한시한 공자의 유학을 비난했다.

하주[荷裯] 연꽃으로 만든 홑옷을 말한다.

하주[夏州] 지금의 호북성 성도인 무한(武漢) 일대를 말하며 한수가 장강과 합류되는 지점이다.

하주[賀鑄] 하주는 성격이 강직하고 당세의 일을 논하기 좋아하여 조금만 뜻에 맞지 않는 자가 있으면 그가 아무리 당세의 권귀(權貴)일지라도 조금도 가차없이 마구 폄론(貶論)하였다 한다. <宋史 卷四百四十三>

하중묵[何仲黙] 하중묵은 명대(明代)의 시인(詩人) 하경명(何景明)을 가리키는데 중묵은 그의 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