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돈[河豚], 하돈안본[河豚贋本], 하동군[河東郡], 하동부[河東賦], 하락[河洛], 하량곡[河梁曲]
❏ 하돈[河豚] 하돈(河豚)은 복어(鰒魚)의 이칭(異稱)이다.
❏ 하돈안본[河豚贋本] 죽파시화(竹坡詩話)에 “미원장(米元章)이 다른 사람의 서화를 잘 바꾸는데 양차옹(楊次翁)이 국을 마련하여 밥을 대접하며 ‘오늘은 그대를 위해서 하돈 생선을 준비하였다.’고 하였는데 사실은 다른 생선이었다. 원장은 의심하여 먹지 아니하니 차옹은 웃으며 ‘공은 의심하지 않아도 된다. 이는 안본이다.’라고 했다.”라고 하였다.
❏ 하동[河東] 유씨(柳氏)를 두고 쓰는 별칭이다.
❏ 하동[河東] 황하의 동쪽지방이라는 뜻으로 지금의 산서성 남부에 설치한 진나라의 군(郡) 이름이다.
❏ 하동군[河東郡] 원래 전국 때 위(魏)나라가 설치한 군현(郡縣)이었으나 진(秦)나라가 빼앗아 관할하다가 한나라가 그대로 따랐다. 지금의 산서성 남부지역을 관할로 하고 치소는 안읍(安邑)이다.
❏ 하동부[河東賦] 문장의 이름이다. 한(漢) 나라 양웅(揚雄)이 지어서 임금에게 올린 것이다.
❏ 하득무송편시백[賀得茂松偏是柏] 훌륭한 사람에게는 훌륭한 친구가 많다는 뜻이다.
❏ 하락[河洛] 하도(河圖)와 낙서(洛書)를 가리킨다.
❏ 하량[河梁] 하량은 하수를 건너지른 다리인데, 한(漢)의 이릉(李陵)이 소무(蘇武)와 작별하면서 하량별(河梁別)이란 시를 썼었다. <漢書 李陵傳>
❏ 하량곡[河梁曲] 송별(送別)의 노래를 뜻한다. 하량은 강의 다리를 이르는데, 한 소제(漢昭帝)가 즉위하여 흉노(匈奴)와 화친을 함으로써, 흉노에 사신으로 갔다 19년 동안이나 억류되었던 소무(蘇武)가 한 나라로 돌아올 적에 이릉(李陵)이 소무를 송별하는 시에서 “서로 손 잡고 하량에 오르노니 나그네는 저문 날에 어디로 갈꼬.[携手上何梁 游子暮何之]”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