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하낙도서[河洛圖書], 하남백숙[河南伯叔], 하내구공[河內寇公], 하내절[河內節], 하내학[河內學]

하늘구경 2024. 3. 14. 12:59
반응형

하낙도서[河洛圖書] 주역(周易) 계사상(繫辭上)에 “하도는 중국 고대 복희씨(伏犧氏)가 왕 노릇 할 때 하수(河水)에서 용마(龍馬)가 그림을 가지고 나왔는데, 복희씨가 그 그림을 본떠 8괘(卦)를 그렸으며, 낙서 역시 우(禹) 임금 때 낙수(洛水)에서 거북이 그림을 가지고 나와 우 임금이 그것으로 홍범(洪範)을 지었다.”라고 하였다.

하남[河南] 하남 정씨(河南程氏)로, 송 나라 때의 유학자인 정자(程子)를 가리킨다.

하남백숙[河南伯叔] 하남은 중국 낙양(洛陽)의 별칭이다. 하남의 형제는 그 곳에서 이학(理學)을 천명한 정호(程顥)와 정이(程頤) 형제를 말한다.

하남시[河南詩] 하남(河南)은 호가 명도(明道)인 정호(程顥)로 “부귀하여도 음하지 않고 빈천하여도 즐기니, 남아가 이 경지에 이르면 바야흐로 호웅일세.[富貴不淫貧賤樂男兒到此方豪雄]”라는 시가 있다. <二程全書 卷三十八 秋日偶成>

하내[河內] 지금의 하남성 황하 북쪽 연안을 말한다.

하내[河內] 한나라 구순(寇恂)이라는 사람이 하내(河內)태수로 정치를 잘하여서 백성들이 임금께 구순이 임기가 끝났으니 한 임기만 더 있게 해주기를 바란다고 탄원하였다 한다.

하내구공[河內寇公] 하내 태수로 있던 구순(寇恂)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구순전(寇恂傳)에 “광무황제(光武皇帝) 건무(建武) 3년에 영천(潁川)에 도둑이 크게 일어나자, 하내 태수로 있는 구순을 불러 도둑을 치게 하였더니, 순이 이르러 도둑을 모두 평정하였다. 그 뒤 광무제의 남정(南征)에 종군하여 영천을 지날 때 영천 백성들이 거가(車駕)를 막고 ‘원컨대 폐하께서는 1년간만 더 구공을 머물게 하여 주십시오.’라고 하였다.”라고 하였다.

하내군[河內郡] 진나라가 설치하고 한나라가 따른 군현이름. 지금의 하남성 황하 이북과 급현(汲縣) 서쪽의 땅으로 한(漢)과 초(楚)가 다툴 때 중립지역을 두기 위해 설치한 군현 이름이다. 관할지역은 지금의 하남성 황하 이북 지역으로 북쪽으로는 안양시(安陽市), 서쪽으로는 제원현(濟源縣), 동쪽으로는 활현(滑縣), 남쪽으로는 황하를 경계로 했다. 치소는 지금이 무척현(武陟縣) 남의 회현(懷縣)이다.

하내절[河內節] 일찍이 하내(河內) 지방에 화재가 나서 천여 가호가 불탔으므로, 경제(景帝)가 급암(汲黯)을 시켜 그 곳을 순시하게 하였는데, 그가 하내에 갔다가 하남(河南) 지역을 둘러본 결과, 그 곳에는 수한(水旱)으로 인해 가난한 백성이 만여 가호나 되었는바, 그 중에 혹은 부자(父子)가 서로 잡아먹기까지 하는 지경이었으므로, 그가 편의에 따라 부절(符節)을 가지고 하남의 창고 곡식을 흩어서 빈민들을 구제했던 데서 온 말이다. <史記 卷一百二十>

하내학[河內學] 하내는 중국 황하(黃河) 이북 지방으로 하남성(河南省) 일대를 말하는데, 송 나라 이학(理學)의 태두(泰斗)인 정이(程頤)의 출생지로서 정이를 가리킨다. 곧 정이의 학통을 이어받았다는 것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