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토[布土], 포편[蒲鞭], 포호빙하[暴虎憑河], 포호심장[包虎深藏], 포홀[袍笏], 포효[狍鴞]
❏ 포토[布土] 땅의 구획을 정함.
❏ 포편[蒲鞭] 포편은 부들로 만든 채찍으로 너그러운 형벌을 말한 것이다. 후한(後漢) 때 유관(劉寬)이 남양태수(南陽太守)가 되었을 때, 그는 본성이 온화하고 인자한 관계로 혹 아전들이 과실을 범했을 적에는 부들 채찍[蒲鞭]으로 때려서 모욕만 줄뿐이었고, 끝내 아프게 때리지 않았던 데서 온 말이다. <後漢書 劉寬傳>
❏ 포해[蒲海] 포류해(蒲類海)의 준말로 신강성(新疆省)에 있는 호수 이름이다.
❏ 포호빙하[暴虎憑河] 맨손으로 범을 두드려 잡고 황하(黃河)를 맨발로 건넌다는 데서, 용기는 있지만 무모함을 말한다.
❏ 포호심장[包虎深藏] 전란이 평정되어 무기를 창고에 넣는 것을 말한다. 예기(禮記) 악기(樂記)에 “무왕(武王)이 목야(牧野)에서 주(紂)를 이기고 은나라 서울로 들어가서는……간과(干戈) 등을 칼날을 뒤로 뒤집어서 수레에 실었는데, 모두 호피로 쌌다.”라고 하였다.
❏ 포홀[袍笏] 도포(道袍)와 홀을 이르는 말로, 즉 조복(朝服)을 의미한다.
❏ 포황[包黃] 예전에 중국에서 처음으로 짐승을 기르기 시작한 이를 복희씨(伏犧氏)라 하는데, 포희씨(包犧氏)라고 한다. 또 처음으로 배[舟]·수레[車]·창[槍]과 방패[干]를 만들어서 전 중국에 처음으로 군림한 사람을 황제헌원씨(黃帝軒轅氏)라 한다. 여기에는 그 두 사람을 말한 것이다.
❏ 포효[狍鴞] 양(羊)의 몸에 사람의 얼굴을 하고 범과 같은 이빨로 사람을 잡아먹고 산다는 괴수(怪獸)의 이름이다.
❏ 포희팔괘[包羲八卦] 주역(周易)의 팔괘(八卦)는 상고(上古)에 포희씨(包羲氏)가 처음 그었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