패택[沛澤], 패패[旆旆], 패풍향리[沛豐鄕里], 패합[捭闔], 패현[佩絃]
❏ 패택[沛澤] 패택은 유방이 태어난 곳이다.
❏ 패판래[稗販來] 패판(稗販)의 무리를 이른 것이다.
❏ 패패[淠淠] 기가 움직이는 모양.
❏ 패패[旆旆] 기가 아래로 드리워진 모양, 날아오르는 모양 , 긴 모양.
❏ 패패[沛沛] 물이 흐르는 모양, 걸어가는 모양.
❏ 패패[孛孛] 빛이 사방으로 비추는 모양.
❏ 패풍향리[沛豐鄕里] 한 고조(漢高祖)가 풍패(豐沛)에서 처음 군사를 일으켰던 고사에서 유래하여, 나라를 세운 제왕의 고향을 가리키는 말이 되었다.
❏ 패합[捭闔] 개합(開闔)과 같은 말이다. 귀곡자(鬼谷子)에 패합편(捭闔篇)이 있는데, 전국 시대 소진(蘇秦)·장의(張儀)가 스승으로 삼아 패합, 종횡의 술(術)을 배워 유세(遊說)하는 방법으로 삼았다. 개폐(開閉)·억양(抑揚)·허실(虛實) 등을 끝없이 펼쳐나가는 변술론(辯論術)을 말한다.
❏ 패합[捭闔] 귀곡자 패합(鬼谷子捭闔“에서 “‘패’는 열다, 말하다, 양이다; ‘합’은 닫다, 침묵하다, 음이다 [捭之者, 開也, 言也, 陽也; 闔之者, 閉也, 黙也, 陰也.]”라고 하였고, 또 “이 천지음양의 이치는 유세가들의 법이다[此天地陰陽之道, 而說人之法也.]”라고 하였다. 이는 다른 사람에게 말을 할 때는 입을 열 때도 있고 침묵할 때도 있으므로 이렇게 반복하여 상대방의 태도를 살핀다는 뜻이다.
❏ 패향[沛鄕] 한 고조(漢高祖)의 고향이 패현(沛縣)이었으므로, 전하여 제왕(帝王)의 고향의 뜻으로 쓰인다.
❏ 패현[佩絃] 옛날에, 서문표(西門豹)는 성질이 급하여 늘 가죽줄을 차서[佩韋] 스스로 늦추었고, 동안우(董安于)는 성질이 느려 늘 활줄을 차서 스스로 팽팽히 했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