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파강미[播糠眯], 파개[爬疥], 파경[葩經], 파경상천[破鏡上天], 파경중원[破鏡重圓], 파과지년[破瓜之年]

하늘구경 2022. 9. 6. 15:46
반응형

파[怕]  겁내다.

파[鄱]  지금의 산동성 등현(滕縣)을 말한다

파[巴]  지금의 중경시(重慶市) 일대를 말한다.

파강[播降]  후손을 전파시키다. 곧 왕통을 이음.

파강미[播糠眯]  장자(莊子) 천운(天運)에 “공자(孔子)가 노자(老子)를 보고 인의(仁義)를 말하자, 노자는 ‘겨를 뿌려 눈에 들어가면 천지와 사방이 뒤바뀐다.’고 했다.”라고 한 말이 있다.

파개[爬疥]  한유(韓愈)의 시에 “번거로움을 덞이 종기를 째는 것 같아라. 옴 오른 데를 긁듯이 정말 기분이 시원하다네.[祛煩類決癰 愜興劇爬疥]”라고 하였다.

파경[破鏡]  깨진 거울이란 뜻으로 부부의 이별 또는 이혼을 비유한 고사성어이다.

파경[葩經]  시경(詩經)은 내용이 꽃봉오리처럼 아름답다 한다. 한유(韓愈)의 진학해(進學解)에 “시경(詩經)은 바르고 꽃봉오리와 같다.[詩正而葦]”라고 하였다. 이 때문에 시경(詩經)을 파경(葩經)이라고도 한다.

파경상천[破鏡上天]  사랑하는 사람이 돌아오기를 고대하는 말임. 파경(破鏡)은 반달을 가리킨 것으로, 고악부(古樂府)에 “언제나 돌아오려나 반달이 하늘에 날아올랐네.[何當大刀頭 破鏡飛上天]”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파경중원[破鏡重圓]  반으로 잘라졌던 거울이 합쳐져 다시 둥그런 본 모습을 찾게 됨. 살아서 이별한 부부가 다시 만나는 것을 상징하는 말로 쓰인다.

파공[坡公]  송대(宋代)의 학자 동파(東坡) 소식(蘇軾)을 말한다.

파과지년[破瓜之年]  여자의 나이 열 여섯 살, 남자의 나이 예순 네 살을 이르는 말의 고사성어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