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토저가규규[兎罝歌赳赳], 토좌[土銼], 토찬[吐餐], 토천[免遷], 토탄[土炭], 토탈[兎脫]
하늘구경
2022. 8. 31. 17:42
반응형
❏ 토저가규규[兎罝歌赳赳] 시전(詩傳) 토저(兎罝)편은 무장의 규규(赳赳)한 것을 노래한 것이다.
❏ 토좌[土銼] 토좌는 흙으로 구워 만든 질솥을 말한다.
❏ 토진간담[吐盡肝膽] 간과 쓸개를 모두 토한다. 솔직하게 속마음을 숨김없이 다 털어놓음.
❏ 토찬[吐餐] 선비를 극진히 대우한다는 뜻이다. 옛날 주공(周公)이 찾아오는 손님을 성의껏 접대하여 밥을 먹거나 머리를 감을 때에 손님이 오면 먹던 밥은 뱉고 감던 머리는 쥐고서 바로 나가 마중하였다고 한다. <史記 魯世家>
❏ 토천[免遷] 문경(聞慶) 고을에 있는 관갑천(串岬遷)의 이칭. 용연(龍淵)의 동쪽 언덕을 말하는데 고려 태조 왕건(王建)이 남으로 쳐내려와 이곳에 이르니 길이 없어 갈 길을 찾고 있던 중 뜻밖에 토끼가 나타나 벼랑을 따라 뛰어가면서 길을 열어주었다는 전설이 있는 곳이다.
❏ 토탄[土炭] 땅속에 매몰된 기간이 오래되지 않아 탄화(炭化) 작용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석탄을 이름.
❏ 토탈[兎脫] 빨리 달아나는 것을 형용한 말이다. 손자(孫子) 구지(九地)에 “처음에는 처녀같이 순하여 적이 문을 열어 주게 하고, 후에는 토끼처럼 빠져나와 적이 미처 대항하지 못하게 한다.”고 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