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탁타교[橐駝橋]~탁탁[卓卓]~탁탁[啄啄]~탄강[誕降]~탄검청장영[彈劍請長纓]
하늘구경
2021. 6. 3. 15:15
반응형
❏ 탁타교[橐駝橋] 송도 보정문(保定門)안에 있는 다리. 옛날 거란[契丹]이 고려 태조에게 수호(修好)를 위하여 낙타 50필을 보내 왔었는데, 이때 태조는 반복무상한 거란족과는 수교할 수 없다 하여 거기서 온 사신 30명을 모두 섬으로 귀양 보내고, 낙타 50필은 이 다리 아래다 매어두고 모두 굶어 죽게 만든 데서 연유한 이름이라고 한다. <新增東國輿地勝覽>
❏ 탁탁[卓卓] 높고 먼 모양, 높고 뛰어난 모양.
❏ 탁탁[逴逴] 멀다. 나이가 점점 들어 아득히 기울다.
❏ 탁탁[啄啄] 새가 나무를 쪼는 소리. 문을 두드리는 소리. 닭이 쪼아먹는 소리.
❏ 탄강[誕降] 태어나다.
❏ 탄검[彈劍] 전국시대 때 제(齊) 나라 재상 맹상군(孟嘗君)의 식객 풍훤(馮諼)이 처음 찾아왔을 때 주위 사람들이 그를 천하게 보고 푸성귀로 대접하자 기둥에 기대어 칼자루를 치며 노래하기를 “긴 칼 차고 돌아왔는데 밥상에 고기가 없네.”라 하고, 또 얼마 후에 노래하기를 “긴 칼 차고 돌아왔는데 문을 나서도 수레가 없네.”라고 하자, 맹상군이 그 요구를 다 들어줬다는 데서 나온 말이다. <史記 卷七十五 孟嘗君傳>
❏ 탄검청장영[彈劍請長纓] 국가를 위하여 충성을 분발하는 사람을 비유한 말. 한(漢) 나라 때 종군(終軍)이 긴 노끈을 받아가지고 가서 남월왕(南越王)을 잡아다가 궐하(闕下)에 바치기를 원한다고 자청한 데서 온 말이다. <漢書 終軍傳>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