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사[秋社]~추사재리동[秋事在籬東]~추생담해[鄒生談海]~추생취율[鄒生吹律]
❏ 추사[秋社] 입추(立秋)가 지난 뒤 다섯 번째의 무일(戊日)에 토지신(土地神)에게 올리는 제사를 말한다.
❏ 추사[樞司] 정치의 중추(中樞)가 되는 기관이라는 뜻으로, 비변사(備邊司)를 가리킨다.
❏ 추사[秋史] 조선 말기에 금석학(金石學)과 서예(書藝) 등에 크게 뛰어났던 김정희(金正喜)의 호이다.
❏ 추사재리동[秋事在籬東] 은거하면서 국화나 완상함을 비유한 말이다. 도잠(陶潛)의 음주(飮酒) 시에 “동쪽 울타리 밑에 국화를 따면서 유연히 남산을 보노라.[采菊東籬下 悠然見南山]”라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추생[鄒生] 추생은 전국 시대 제(齊) 나라의 변설가(辯舌家) 추연(鄒衍)을 말한다. 사기(史記) 맹자순경열전(孟子荀卿列傳)에 “유자들이 말하는 중국이라고 하는 것은 천하 가운데 팔십일 분의 일에 해당하는 것일 뿐이다.[儒者所謂中國者 於天下乃八十一分居其一分耳]”라고 말한 추연의 주장이 실려 있다.
❏ 추생담해[鄒生談海] 추생은 전국 시대 제(齊) 나라의 추연(鄒衍)을 이름이다. 광대한 담론이란 바로 추연이 천상(天象)을 말하는 데 있어 그 변론이 굉원박대(宏遠博大)하였음을 이른 말이다.
❏ 추생영해사[鄒生嶺海死] 전국 시대 제(齊) 나라의 추연(鄒衍)을 가리킨다. 연(燕) 나라 혜왕(惠王)이 참소하는 말을 믿고서 추연을 옥에 가두었는데, 여름인데도 서리가 내리고 오곡(五穀)이 익지 않았다고 한다.
❏ 추생율[鄒生律] 추생은 전국(戰國) 시대 제(齊) 나라 추연(鄒衍)을 가리킨다. 추연은 본디 율(律)에 능하여, 기후가 차가워서 오곡(五穀)이 성장하지 못하는 북방(北方)의 어느 땅에 그가 율을 불어 그곳에 따스한 봄이 오게 해서 벼·기장 등의 곡식이 잘 자랐다 한다. <列子 湯問>
❏ 추생취율[鄒生吹律] 추생은 전국 시대 제(齊) 나라 추연(鄒衍)을 이르는데, 그가 연 혜왕(燕惠王)을 섬길 적에 혜왕이 다른 신하의 참소하는 말을 믿고 그를 하옥시키자 때 아닌 5월에 서리가 내렸고, 또 북방은 기후가 차서 오곡(五穀)이 자라지 못했는데, 그가 율(律)을 불어 기후를 다습게 하자 벼와 기장이 자랐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列子 湯問>