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추[貙]~추[諏]~추강일필련[秋江一匹練]~추계[魋髻]~추고마비[秋高馬肥]
하늘구경
2021. 5. 16. 13:23
반응형
❏ 추[貙] 너구리와 비슷한데 몸집이 작다.
❏ 추[墜] 땅. 공공이 전욱과 임금자리를 다투다가 노하여 부주산에 부딪히니, 하늘기둥이 꺾이고 땅이 끊어져서 하늘이 서북으로 기울고 땅이 동남에 차지 않으매 물길이 동남으로 기울어졌다는 전설이 있다.
❏ 추[篘] 용수. 술을 거르는 도구를 가리킨다.
❏ 추[諏] 자문(咨問). 바로 왕명을 받은 사신(使臣)이 미진함이 없도록 자신의 직분을 다하기 위해 여기저기서 자문을 하여 직무 수행에 힘씀을 이른 말이다.
❏ 추[鄒] 지금의 산동성 추현(鄒縣)에 있었던 고을 이름으로 맹자의 고향으로 유명하다.
❏ 추[鄒] 추는 맹자의 나라로서 맹자를 가리킨다. 맹자(孟子) 이루상(盡心上)에 “바다를 구경한 사람과는 강물을 가지고 이야기하기 어렵다.[觀於海者 難爲水]”고 하였다.
❏ 추강일필련[秋江一匹練] 이백(李白)의 시에 “누가 이 강물 넓다고 말하는가, 비좁기가 마치도 한 필 비단 같은걸.[誰道此水廣 狹如一匹練]”이라는 표현이 있다. <李太白詩集 卷13 江夏 寄漢陽輔參事>
❏ 추계[魋髻] 추계는 만이(蠻夷)의 수식(首飾)인 북상투이다.
❏ 추고마비[秋高馬肥] 아주 좋은 가을 날씨를 표현한 고사성어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