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모[菁茅]~청몽승저[淸夢乘軧]~청묘[淸廟]~청묘슬[淸廟瑟]~청묘현[淸廟絃]
❏ 청모[菁茅] 띠풀의 일종으로 삼척모(三脊茅)라고도 한다. 고대에서 청모초(菁茅草)를 볏단으로 만들어 그 위에 부어 거른 술로 제사를 지냈다. 청모는 초나라의 특산물로 은나라를 멸하고 주나라가 서자 주왕은 주왕실의 제사를 받들 때 사용하는 술을 거르기 위해 사용하기 위해 매년 마다 청모초를 공물로 바치게 했다. 후에 주왕실의 힘이 쇠약해지자 초나라는 청모를 바치지 않고 있었다.
❏ 청몽승저[淸夢乘軧] 마음이 고상한 것을 비유한 말이다. 진(晉) 나라 때 위개(衛玠)가 악광(樂廣)에게 꿈이 무엇인가 묻자, 악광이 “생각에서 온 것이다.”고 하니, 위개가 “형신(形神)이 아무 사물을 접하지 않고 꾸는 꿈은 무엇입니까?”라 하고 물으므로 악광이 “이것은 원인[因]에서 온 것이다. 일찍이 수레를 타고 쥐구멍에 들어가서 철저(鐵杵)를 씹는 꿈을 꾸어 보지 못했다.”라고 하였는데, 이는 곧 아무 생각도 없고 원인도 없기 때문이라는 데서 온 말이다. <世說新語 文學>
❏ 청묘[淸廟] 시경(詩經) 주송(周頌)의 편명(篇名)으로, 주공(周公)이 문왕(文王)의 사당에 제사할 때 드린 시(詩)이기도 하다.
❏ 청묘[淸廟] 청묘는 종묘(宗廟) 혹은 그곳에서 연주하는 악장(樂章)을 가리킨다. 황종은 12율(律) 가운데 양률(陽律)에 속하는 여섯 종류의 율 중 첫 번째 율이고, 대려는 여섯 음률(陰律) 중 네 번째 율로서, 음악이나 시문이 장엄하고 정대한 것을 비유할 때 곧잘 병칭해서 쓴다.
❏ 청묘[淸廟] 청정(淸淨)한 사당이란 뜻으로 태묘(太廟) 즉 종묘(宗廟)를 말한다. 시경(詩經) 주송(周頌)에 “아, 심원한 청묘, 엄숙하고 화평하며 밝은 공경과 제후이다.[於穆淸廟 肅雝顯相]” 하였는데, 이는 주공(周公)이 백관을 거느리고 문왕에게 제사드린 시이다.
❏ 청묘슬[淸廟瑟] 시경(詩經) 주송(周頌)의 청묘(淸廟) 시에 가락을 맞춘 비파인데, 줄은 굵고 줄구멍이 넓어서 여운(餘韻)이 길다. <禮記 樂記>
❏ 청묘슬[淸廟瑟] 청묘는 주 문왕(周文王)의 종묘(宗廟)이므로 즉 문왕의 덕을 찬미한 아악(雅樂)을 뜻한다.
❏ 청묘현[淸廟絃] 시경(詩經) 주송(周頌) 청묘시(淸廟詩)에 가락을 맞춘 비파로 줄이 굵고 구멍이 넓어서 여운이 길다. <禮記 樂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