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천추[天樞]~천추소자유[千秋蘇子遊]~천추절[千秋節]~천춘[千春]~천측령[天測靈]
하늘구경
2020. 12. 10. 10:44
반응형
❏ 천촌만락[千村萬落] 수많은 촌락(村落).
❏ 천추[天樞] 북두칠성의 첫 번째 별을 말한다.
❏ 천추[千秋] 천년.
❏ 천추소자유[千秋蘇子遊] 송(宋)의 소식(蘇軾)이 황주(黃州)로 귀양 갔을 때 적벽강(赤壁江)에서 유람하며 적벽부(赤壁賦)를 지었다. 거기에서 퉁소를 불면서 즐겼다는 내용이 있다.
❏ 천추절[千秋節] 당 현종이 8월 5일에 탄생했다 해서 개원(開元) 17년에 이 날을 천추절(千秋節)로 정하여 천하에 포고했음. 뒤에 천장절(天長節)로 고쳤음. 당 현종의 탄신날을 천추절이라 하고, 거국적으로 축하 행사가 있었는데 여러 백관들은 황제에게 물건을 드려서 축하의 뜻을 표하는데, 장구령(張九齡)이라는 정상은 역사상의 정치 잘하고 못한 것을 발췌하여 황제의 참고가 되게 하는 책을 만들어서 그 이름을 천추금감록(千秋金鑑錄)이라 하고 그것을 헌상하였다.
❏ 천춘[千春] 춘나무[椿]는 장수(長壽)하는 나무로 8천 년을 한 봄으로 하고, 8천 년을 한 가을로 한다고 한다.
❏ 천측령[天測靈] 성인(聖人)이 되기를 바란다는 뜻. 양자법언(揚子法言) 권6 5백편에 “성인은 총명하고 깊고 아름다워서 하늘을 이어 만령을 헤아린다.[聖人聰明淵懿 繡天測靈]”고 한 데서 온 말인데, 그 주에 의하면, 성인의 출몰(出沒)이 천도의 비태(否泰)를 이어서 만령(萬靈)을 헤아려 구제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