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천기[千騎]~천기[天機]~천기절[天祺節]~천난규관측단예[天難闚筦測端倪]~천낭성[天狼星]
하늘구경
2020. 11. 25. 12:17
반응형
❏ 천기[千騎] 고악부(古樂府)인 맥상상(陌上桑)에, 나부(羅敷)라는 미녀가 한 성읍(城邑)의 어른이 된 자기 남편을 자랑하면서 “동쪽으로 떠나는 일천 기마병, 우리 남편 제일 앞자리에 앉아 있네.[東方千餘騎 夫婿居上頭]”라고 노래한 가사가 실려 있는데, 이로부터 천기(千騎)를 주목(州牧)이나 태수(太守)의 별칭으로 쓰게 되었다.
❏ 천기[天機] 만물 속에 내재(內在)한 하늘의 기틀, 즉 자연의 이법(理法)을 뜻한다.
❏ 천기절[天祺節] 북송(北宋)의 진종(眞宗) 대중상부(大中祥符) 원년 4월 1일에 하늘에서 천서(天瑞)가 두 번째로 내려온 상서(祥瑞)가 있다 하여 국경일로 지정된 날이다.
❏ 천난규관측단예[天難闚筦測端倪] 즉 큰 것을 볼 줄 모른다는 말이다. 반고(班固) 유통부(幽通賦)에 “표주박으로 바닷물을 헤아리고 대롱구멍으로 하늘을 본다.[旣傾蠡而酌海 遂側管而窺天]”라고 하였다.
❏ 천남[天南] 서울의 남쪽 지방을 가리킨다.
❏ 천낭성[天狼星] 옛날에 침략을 상징하는 것으로 여겨졌던 별 이름이다. 옛날에 세상이 어지러우면 이 별이 나타나 요기(妖氣)를 부린다고 믿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