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처량부복[凄涼賦鵩]~처비일조[萋斐日組]~처성자옥[妻城子獄]
하늘구경
2020. 11. 16. 10:06
반응형
❏ 책책[嘖嘖] 시끄럽게 떠드는 모양, 언쟁하는 모양, 사람이 이러쿵저러쿵 시끄럽게 평판하는 모양, 새 우는 소리.
❏ 책책[策策] 오동잎에 바람이 스치는 소리.
❏ 책훈[策勳] 공훈(功勳)을 기록하여 책(策)에 올리는 것.
❏ 처[凄] 차고 쓸쓸하다.
❏ 처간[處干] 고려 때의 소작민을 일컫던 말.
❏ 처당차연작[處堂嗟燕雀] 집에 불이 나서 온통 타들어오는데 당 위에 집을 짓고 있는 제비는 알지 못하고 어리석게 지저귄다 하여 불쌍하다는 것이니, 이것은 반역자가 곧 그 제비의 신세가 될 것이나 알지 못하고 여전이 뽐낸다는 뜻이다.
❏ 처량부복[凄涼賦鵩] 한(漢) 나라 때 가의(賈誼)가 장사(長沙)로 폄척된 뒤 복조(鵩鳥)가 집에 날아와 앉자, 불길한 조짐이라 여겨 이를 비관하여 복조부를 짓고 과연 그곳에서 죽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 처비일조[萋斐日組] 참소하는 소인(小人)이 남의 조그만 허물을 가지고 꾸며서 큰 죄를 만들거나, 분명하지 않은 일을 자꾸 부각시켜 사실로 만들어 해치는 것을 말한다. <詩經 小雅 巷伯>
❏ 처사[處士] 국화를 의인화(擬人化)하여 말한 것이다. <花史>
❏ 처성자옥[妻城子獄] 아내의 성과 자식의 감옥에 갇혀 있다. 처자(妻子)가 있는 사람은 집안일에 완전히 얽매여서 다른 일에 꼼짝도 할 수 없음을 이르는 말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