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팽윤[蔡彭胤]~채필[綵筆]~채필무공[彩筆無功]~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 채팽윤[蔡彭胤] 조선조 영조 때 사람. 자는 중기(仲耆), 이름은 팽윤(彭胤), 호는 희암(希菴). 형조 참판을 거쳐 부제학(副提學)을 지냈고, 시와 글씨에 뛰어났음. 저서에는 희암집(希菴集)이 있다.
❏ 채필[綵筆] 남조(南朝)의 강엄(江淹)이 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곽박(郭璞)에게 돌려준 뒤로부터 미문(美文)이 나오지 않았다는 고사와, 이태백(李太白)이 붓 끝에 꽃이 피는 꿈을 꾸고 난 뒤로부터 더욱 시상(詩想)이 풍부해졌다는 채필생화(綵筆生花)의 고사가 전한다. <南史 卷59 江淹傳·開元天寶遺事 夢筆頭生花>
❏ 채필[彩筆] 뛰어난 문장 솜씨를 이름. 양(梁) 나라 때 문장가인 강엄(江淹)이 어릴 적에, 자칭 곽박(郭璞)이란 사람으로부터 채색 붓을 받는 꿈을 꾸고부터 시문(詩文)으로 명성을 크게 떨쳤는데, 한번은 꿈에 자칭 곽박(郭璞)이라는 사람이 나타나 “내 붓이 그대에게 다년간 있었으니 이제는 돌려달라.”고 하므로, 강엄이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 그에게 돌려주었는데, 그 꿈을 꾼 이후로는 강엄의 재주가 다해버렸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梁書 卷十四>
❏ 채필[綵筆] 뛰어난 문장 실력을 뜻한다. 이백(李白)이 붓 머리에 꽃이 피어나는 꿈을 꾸었다는 “綵筆生花”의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 채필무공[彩筆無功] 재능이 떨어졌다고 스스로 비유한 말. 양(梁)나라 때 강엄(江淹)이 젊어서 문장으로 크게 이름을 떨쳤었는데, 한번 야정(冶亭)에서 잠을 자다가 꿈을 꾸었는바, 꿈에 한 장부가 나타나 곽박(郭璞)이라 자칭하면서 “내 붓이 그대에게 가 있은 지 여러 해가 되었으니, 이제는 돌려줘야겠다.”고 하므로, 강엄이 자기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 주었더니, 그 후로는 재주가 떨어져서 시를 지어도 미사여구가 전혀 없었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다. <梁書 卷十四>
❏ 채필토홍예[彩筆吐虹蜺] 훌륭한 문장을 짓는 것을 비유한 말. 채색 붓이란, 양(梁) 나라 때 강엄(江淹)이 일찍이 문장으로 이름이 높았는데, 어느 날 꿈에 곽박(郭璞)이라 자칭하는 사람이 와서 자기 붓을 돌려 달라고 하자, 강엄이 품속에서 오색필(五色筆)을 꺼내어 그 사람에게 주었던바, 그 후로는 강엄에게 훌륭한 문사가 나오지 않았다는 고사에서 온 말이고, 무지개를 토한다는 것 또한 시문의 재주가 풍부함을 형용한 말이다. <南史 江淹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