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참간[慚幹]~참곡궤[斬曲几]~참군[參軍]~참덕[慚德]~참도역후[慙淘礫後]
하늘구경
2020. 11. 2. 11:31
반응형
❏ 참[驂] 세 필의 말.
❏ 참간[慚幹] 아들이 아버지의 일을 계승하여 처리함을 말한다. <周易 蠱卦 初六爻>
❏ 참곡궤[斬曲几] 당나라 유종원(柳宗元)이 굽은 궤를 베는 글[斬曲几文]을 지었는데 “악(惡)에는 굽은 것이 첫째이므로 나는 굽은 궤를 벤다.”라고 하였다.
❏ 참군[參軍] 고려 때 개성부(開城府)의 정7품 벼슬.
❏ 참군[參軍] 입대하다, 종군하다. 명청시대에 출납문서를 맡은 관직. 한말 군사막료. 당대(唐代)에 유행된 참군희(參軍戱) 연극의 배우, 현재의 정각(凈角)에 해당한다.
❏ 참군[參軍] 평사(評事)의 별칭이다.
❏ 참덕[慚德] 참덕은 덕이 미치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긴다는 뜻으로, 즉 주 무왕(周武王)이 태공망(太公望)의 계책에 의해 당시 천자였던 은 나라 주(紂)를 정벌한 것을 뜻한다.
❏ 참덕[慚德] 참덕이란 덕이 미치지 못함을 부끄럽게 여긴다는 뜻이다. 탕(湯)은 걸(桀)의 신하이면서 백성이 도탄(塗炭)에 빠진 것을 차마 볼 수 없어서 걸을 내쫓고 자기가 나라를 빼앗고는 “나는 부끄러운 덕이 있다.”고 하였다.
❏ 참도역후[慙淘礫後] 진서(晉書) 손작전(孫綽傳)에 “淘之汰之 瓦礫在後”라 하였다. 정한 것은 앞서고 거친 것은 뒤에 있다는 뜻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