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차형[車螢]~차호[鹺戶]~착곡[錯穀]~착곡음[鑿谷吟]~착규번신공[鑿竅煩神功]
하늘구경
2020. 10. 30. 10:02
반응형
❏ 차현[車峴] 충청도 공주(公州)의 북쪽 57리 지점에 있는 재 이름이다.
❏ 차형[車螢] 차윤(車胤)의 반디. 동진(東晉) 때 차윤이 집이 가난하여 등불을 밝힐 수 없자 반딧불을 주머니에 많이 잡아넣어 그 불빛으로 글을 읽은 고사를 말한다.
❏ 차호[鹺戶] 차호는 곧 어염(漁鹽)을 생업으로 하는 백성들을 말한다.
❏ 착[笮] 사천성 한원(漢源) 일대에 살던 이민족 이름. 한무제 때인 기원전 110년에 이곳에 심려군(沈黎郡)을 설치했다.
❏ 착[錯] 얽히다. 교착하다.
❏ 착[浞] 예의 신하로서 예를 죽이고 그의 처를 빼앗다.
❏ 착곡[錯穀] 수레에 축이 얽히어 있는 것을 말한다.
❏ 착곡음[鑿谷吟] 한유(韓愈)의 도원도(桃源圖) 시에 “바위를 걸치고 골짜기를 뚫어 집을 지었다.”는 구절이 있다.
❏ 착규번신공[鑿竅煩神功] 자연을 훼손하면서 구태여 하지 않아도 될 일을 하였다는 뜻이다. 장자(莊子) 응제왕(應帝王)에 “혼돈(渾沌)의 몸에 하루에 구멍 하나씩 뚫어 나갔는데 7일 만에 그만 혼돈이 죽고 말았다.”는 이야기가 실려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