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주[借籌]~차진[借津]~차차[次次]~차차[嗟嗟]~차풍례[遮風禮]
❏ 차제[次第] 차례로.
❏ 차주[借籌] 차저(借箸)와 같은 말로, 모신(謀臣)이 작전 계획을 세우는 것을 말한다. 한(漢) 나라 장량(張良)이 고조(高祖)에게 “앞에 있는 젓가락을 잠깐 빌려서 대왕을 위해 계책을 설명드리겠다.[臣請借前箸爲大王籌之]”고 한 말에서 비롯된 것이다. <漢書 張良傳>
❏ 차진[借津] 차진은 인재를 등용하는 것을 뜻하는데, 고려 태조(高麗太祖)의 훈요십조(訓要十條) 가운데 “차현 이남과 공주(公州)의 강 밖은 산형(山形)과 지세(地勢)가 모두 배역(背逆)의 상이니, 그 지역 사람은 등용하지 말라.”고 했던 데서 온 말이다.
❏ 차차[次次] 일이 잘 진척되지 않아 불안한 모양 , 어떤 일이 조금씩 순서대로 되어가는 상태, 점점.
❏ 차차[嗟嗟] 탄식하며 슬퍼하는 소리, 거듭 감탄하며 칭찬하는 소리, 바닷속 괴물의 울음 소리.
❏ 차차[㤞㤞] 정하지 못한 모양.
❏ 차창주[車滄洲] 창주는 차운로(車雲輅)의 호이다.
❏ 차천로[車天輅] 조선 시대의 문인으로 호는 오산(五山), 서경덕(徐敬德)의 문인. 그는 문명이 명 나라에까지 떨쳐 동방문사(東方文士)라는 칭호를 받았으며, 특히 한시에 뛰어나 한 호(韓濩)의 글씨, 최입(崔岦)의 문장과 함께 송도 삼절(松都三絶)이 라 일컬어졌다. 저서에 오산집(五山集)·오산설림(五山說林)이 있다.
❏ 차풍례[遮風禮] 주객이 함께 음식을 먹던 자리에서 객이 소마보러 나갔다가 돌아오면 주인이 ‘바람을 막은 벌’이라는 뜻으로 음식을 권함에 따라 객이 음식을 먹는 것을 차풍례라 하고, 이때 드는 술잔을 차풍배(遮風杯)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