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간[執簡]~집고사[集古辭]~집구시[縶駒詩]~집규[執珪]~집금오[執金吾]
❏ 집간[執簡] 간책(簡冊)을 잡는다는 뜻으로, 사관(史官)이나 어사(御史)의 직책을 맡은 사람을 가리킨다.
❏ 집고록[集古錄] 송 나라 구양수(歐陽脩)의 찬으로 총 10권. 내용은 금석문(金石文)을 집록하고 고증·해설한 것이다.
❏ 집고사[集古辭] 자기의 글을 새로 짓지 아니하고 옛사람의 글귀를 따 모아서 그 때의 사실에 적합하도록 연결하여 한 편(篇)의 문장을 만든 것이다.
❏ 집구[集句] 집구(集句)는 자기가 지은 시(詩)가 아니고 여러 시인의 작품에서 한 구(句)씩 떼어 모아서 적당하게 맞추어 만든 것이다.
❏ 집구[縶駒] 칩구는 시경(詩經) 소아(小雅) 백구(白駒)에 “皎皎白駒 食我場苗 縶之維之 以永今朝”라 하였다.
❏ 집구시[縶駒詩] 시경(詩經) 소아(小雅)의 백구장(白駒章)을 말한 것이다.
❏ 집규[執珪] 춘추전국시대 때 초나라 작위(爵位) 등급의 하나. 지위는 봉국(封國)의 군주에 해당한 고위직이었다.
❏ 집금오[執金吾] 관명(官名). 천자(天子)의 호위병을 말한다. 후한서(後漢書) 음황후기(陰皇后紀)에 “벼슬을 하려면 마땅히 집금오가 되어야 하고, 장가는 마땅히 음여화에게 들어야 한다.[仕官當作執金吾 娶妻當得陰麗華]”라는 말이 있으며, 당(唐) 나라 왕한(王翰)의 시 ‘고장성음(古長城吟)’에 “장안의 소년들 원대한 계획 없이, 그저 평생 바라나니 오직 집금오.[長安少年無遠圖 一生惟羨執金吾]”라는 구절이 있다. 집금오(執金吾)는 천자가 순행(巡行)할 때 앞에서 인도하며 비상 사태에 대처하고, 평상시에는 장안을 순찰하는 책임을 맡은 관직 이름인데, 구리에 금을 입힌 금오(金吾)라는 곤봉을 손에 들었기 때문에 그런 이름이 붙여졌다 한다.
❏ 집금오[執金五] 무제 태초(太初) 원년 기원전 104년 한무제가 중위(中尉)의 명칭을 집금오로 개칭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