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무[眞武]~진문[晉門]~진물[鎭物]~진번일탑[陳蕃一榻]~진번하탑[陳蕃下榻]
❏ 진무[眞武] 진무는 한(漢) 나라 때 정락국왕(淨樂國王)의 태자이다. 동해를 건너다 천신(天神)을 만나 보검을 수여받고 무당산(武當山)에 들어가 수련한 끝에 42년만에 공을 이루어 백일승천(白日昇天)하였으며 상제의 명을 받들고 북방을 진압하였다 한다.
❏ 진무기[陳無己] 무기는 진사도(陳師道)의 자이다. 진사도는 호가 후산(后山)이며, 송(宋) 나라의 시인이다.
❏ 진문[晉門] 당 나라 유종원(柳宗元)이 매승의 칠발을 모방하여 지은 문체의 명칭이다.
❏ 진물[鎭物] 진물은 모든 사물이 다 안정되게 하는 것이다.
❏ 진미공[陳眉公] 명(明) 나라 진계유(陳繼儒). 미공(眉公)은 그의 호이다.
❏ 진번[陳蕃] 동한(東漢) 때 사람. 그의 친구 서치(徐穉)가 찾아오면 평상을 내려앉게 하고 그가 떠나면 달아매어 다른 사람에게는 앉게 하지 않았다 한다.
❏ 진번일실무[陳蕃一室蕪] 후한서(後漢書) 권 16에 “진번이 15세 때 집에서 한가히 지내고 있었는데 풀이 무성하여도 그대로 두었었다. 아버지의 벗 설근(薛勤)이 찾아왔다가 진번에게 ‘그대는 어째서 뜰을 깨끗이 청소해 놓고 손님을 맞지 않는가?’라 하니, 답하기를 ‘대장부가 세상을 살면서 마땅히 천하를 청소하여야지 한 집의 청소에 마음을 써서야 되겠습니까?’라고 했다.”고 하였다.
❏ 진번일탑[陳蕃一榻] 후한(後漢) 때 진번이 예장 태수(豫章太守)로 있을 때 남주(南州)의 고사(高士) 서치(徐穉)가 오면 특별히 한 탑(榻)을 마련하여 대접했던 고사이다.
❏ 진번탑[陳蕃榻] 동한(東漢)의 진번(陳蕃)이 예장태수(豫章太守)가 되었을 때, 서치(徐穉)가 찾아오면 특별히 자리 하나를 깔아 놓고 접대하였다가 서치가 돌아가면 그 자리를 다시 걸어 놓았다. 후세에 특별히 손님을 대우하는 것을 하탑(下榻)이라고 하였다. <後漢書 卷 53 徐穉傳>
❏ 진번하탑[陳蕃下榻] 현자를 특별 예우한 일. 후한(後漢) 시절 남창 태수(南昌太守) 진번(陳蕃)이, 별로 손님을 접대하지 않다가도 그 고을에서 가난하게 지내는 서치(徐穉)라는 선비만 오면 특별히 자리를 내려 깔아주고 그가 가면 즉시 말아서 다시 제자리에다 매달았다고 한다. <後漢書 高士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