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軹道]~지도난문[至道難聞]~지도인시[至道因是]~지도편달[指導鞭撻]
❏ 지도[至道] 송(宋)나라 태종(太宗)의 연호(年號). 서기 995년
❏ 지도[至道] 지극한 도의 뜻으로 추연이 음양오행설에 입각하여 주장한 설이다.
❏ 지도[軹道] 지금의 서안시 동북에 있었던 역참의 이름이다.
❏ 지도[軹道] 지금의 하남성 제원현(濟源縣) 경내에 있었던 고대의 도로의 이름이다. 산서성 고원지대와 예북(豫北) 평원을 잇는 도로로써 옛날부터 전략적인 요충지였다. 또한 섬서성 서안 북쪽에 지도정(軹道亭)이라는 지명이 있는데 진나라의 자영(子嬰)이 항복의 의식을 행한 곳이다.
❏ 지도[軹道] 지도(軹道)는 장안(長安)의 동쪽 30리 되는 곳에 있는 정(亭) 이름으로, 진왕(秦王) 자영(子嬰)이 패공(沛公)유방(劉邦)에게 항복한 곳이다. 사기(史記) 제6권 진 시황본기(秦始皇本紀)에 “이세(二世) 3년에 패공이 패상(覇上)에 이르러서 사람을 시켜서 자영(子嬰)에게 항복하게 하니, 자영이 즉시 목에 새끼줄을 걸고 백마에 소거(素車)를 타고 천자의 새부(璽符)를 받들고서 지도 곁으로 나와서 항복하였다.” 하였다.
❏ 지도난문[至道難聞] 논어(論語) 공야장(公冶長)에 “성(性)과 천도(天道)는 듣지 못했다.”고 한 데서 인용된 말인 듯하다.
❏ 지도림[支道林] 도림은 진(晉) 나라의 승려 지둔(支遁)의 자(字)로, 시에 능해 지둔집(支遁集)이라는 시집을 남겼다. <梁高僧傳 4>
❏ 지도선종내[志道先從內] 중용(中庸)에 “군자의 도는 제일 먼저 부부 사이에서부터 시작된다.[君子之道 造端乎夫婦]”는 말이 있다.
❏ 지도인시[至道因是] 각기 저는 옳고 남은 그르다 하기 때문에 ‘이것으로 인하여 저것이 있고 저것으로 인하여 이것이 있어’ 인하여 옳은 것도 있고 인하여 그른 것도 있다 하였다. <莊子>
❏ 지도편달[指導鞭撻] 편달(鞭撻)이란 채찍으로 때리는 것을 뜻한다. 앞으로 나아갈 방향을 일러주면서 길이 아닌 곳으로 가거나 비뚜로 나가는 것을 경계하고 격려해 달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