증점사슬[曾點捨瑟]~증점슬[曾點瑟]~증제[烝祭]~증제[贈綈]
❏ 증점[曾點] 공자(孔子)의 앞에서 여러 제자들이 각기 뜻을 말[言志]할 때, 끝으로 증점(曾點)이 “늦은 봄에 봄 옷이 이미 이루어지거든 관자(冠者) 5, 6명과 동자(童子) 6, 7명과 더불어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 바람쐬며 읊조리고 돌아오리이다.[莫春者 春服旣成 冠者五六人童子六七人 浴乎沂 風乎舞雩 詠而歸]”라 말하여 공자를 감탄하게 하였다.
❏ 증점사슬[曾點捨瑟] 공자가 제자들과 함께 있다가 각자의 뜻을 묻자, 증점이 타던 비파를 놓고 일어나서 “늦은 봄에 봄옷이 다 지어지면 대여섯 명의 어른과 예닐곱 명의 아이들과 함께 기수(沂水)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쐬고서 돌아오겠습니다.”라고 하니 공자가 감탄하였다. <論語 先進>
❏ 증점사슬장[曾點舍瑟章] 소망(所望)을 말해보라는 공자(孔子)의 물음에 증점(曾點)은 타던 비파[瑟]를 내려놓고 “늦은 봄에 동자(童子)와 관자(冠者)를 데리고 기수(沂水)에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을 쏘이고 시를 읊고 돌아오겠습니다.”라고 한 장(章)을 말한다. <論語 先進>
❏ 증점슬[曾點瑟] 높은 기상을 상징한 말이다. 논어(論語) 선진에 “‘점(點)아 너는 어떠냐?’ 하자, 비파를 타다가 비파를 놓고 대답하기를 ‘저문 봄에 봄옷이 다 이뤄지거든 관자(冠者) 5~6인, 동자(童子) 6~7인과 함께 기수[沂]에서 목욕하고 무우(舞雩)에서 바람 쐬고 시를 읊조리며 돌아오렵니다.’라고 했다.”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증제[烝祭] 겨울 제사 이름. 봄 제사를 약(禴), 여름 제사를 사(祠), 가을 제사를 상(嘗), 겨울 제사를 증(烝)이라 한다.
❏ 증제[贈綈] 제포는 두꺼운 명주 솜옷을 이른다. 전국 시대 위(魏) 나라 수가(須賈)가 진(秦) 나라에 사신으로 갔을 때 매우 어려운 처지에 있어 보이는 옛 친구 범수(范睢)를 만나서 그를 몹시 애처롭게 여긴 나머지 옛날의 우정(友情)을 생각하여 그에게 제포 한 벌을 주었던 고사에서 온 말이다. <史記 范睢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