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주담[麈談]~주도면밀[周到綿密]~주도추[朱桃椎]~주독[酒禿]~주두[周豆]
하늘구경
2020. 9. 26. 12:26
반응형
❏ 주담[麈談] 승려의 수준이 높아 훌륭한 법문을 펼친다는 말이다.
❏ 주덕송[酒德頌] 술을 찬미한 노래로 진(晉) 나라 유영(劉伶)이 지었다. 유영은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으로 노장학(老莊學)을 숭상하였다.
❏ 주덕윤[朱德潤] 원(元) 나라 사람으로 시(詩)에 능하였으며, 산수화·인물화를 잘 그렸다. <四庫提要 卷一百七十四>
❏ 주도[奏刀] 칼을 쓰다.
❏ 주도기이동[周道旣已東] 주 나라의 도가 동으로 갔다는 것은 곧 주 나라가 쇠미해져서 평왕(平王)이 동쪽 낙읍(洛邑)으로 도읍을 옮긴 이후를 가리켜 말한 것이다.
❏ 주도면밀[周到綿密] 마음 씀이나 생각이 두루 미치고 자세하여 빈틈이 없음을 이른다.
❏ 주도추[朱桃椎] 당 나라 때 거사(居士). 그는 천성이 담박하여 산 속 오막살이에 살면서 항상 미투리를 만들어 길가에 놓아두면, 지나는 사람들이 “주 거사의 신이다.” 하고 쌀을 대신 그 자리에 갖다 놓고 신을 가져갔다 한다. <新唐書 卷一百九十六 朱桃椎傳>
❏ 주독[酒禿] 술을 너무 많이 마신 탓에 술독으로 인해 머리털이 다 빠지는 것을 말한다.
❏ 주두[周豆] 주두는 주(周) 나라 왕실의 기물(器物)로 대궐의 그릇을 뜻한다.
❏ 주등해[朱登蟹] 주등은 한 선제(漢宣帝) 때 동해상(東海相)을 지낸 인물인데, 그가 동해상이 되자 그 지방의 특산물인 게장을 장창(張敞)에게 선물한 일이 있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