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螬李]~조마[曹馬]~조만[曺瞞]~조말척검[曹沫尺劍]
❏ 조리[螬李] 맹자(孟子) 등문공 하(滕文公下)에 “진중자(陳仲子)는 어찌 청렴한 선비가 아니리오. 오릉(於陵) 땅에 있을 때 3일 동안 굶어 듣지도 보지도 못하다가 굼벵이가 반이나 먹은 우물 위의 오얏을 기어가서 주워 먹으니 세 번 삼킨 후에 귀에 소리가 들리고 눈에 물건이 보였다.”는 말이 있다.
❏ 조림[祖林] 선림(禪林)과 같은 뜻으로, 선도(禪徒)들이 많이 모여서 수도하는 것을 수풀에 비유하여 말한 것이다.
❏ 조마[曹馬] 한 헌제(漢獻帝)를 몰아내고 천하를 차지한 위(魏)의 조조(曹操)·조비(曹丕)와 다시 위를 찬탈한 진(晉)의 사마소(司馬昭)·사마염(司馬炎)을 가리킨다.
❏ 조만[操縵] 예기(禮記) 학기(學記)에 “음색 조정하는 것을 배우지 않으면 현을 자유로이 조정할 수 없다.[不學操縵 不能安弦]”고 한 데서 온 말이다.
❏ 조만[曺瞞] 조조(曺操). 삼국지(三國志) 권1의 주에 인용한 조만전(曺瞞傳)에 “태조는 일명 길리라고 하였으며 어렸을 때의 자는 아만이었다.[太祖 一名吉利 小子阿瞞]”라고 하였다.
❏ 조말[曺沫] 춘추(春秋) 시대 노(魯) 나라 사람이다. 장공(莊公)이 제(齊)와 싸워 지고는 가(柯)에서 맹약을 할 때 조말이 비수를 들고 제 환공(齊桓公)을 위협하면서 의분에 북받치는 말을 하자 환공은 그 동안 노 나라에서 빼앗은 땅을 그 자리에서 다 되돌려 주었다고 한다. <史記 刺客列傳>
❏ 조말척검[曹沫尺劍] 조말(曹沫)은 춘추 시대 노(魯) 나라의 장군으로, 제(齊) 나라와 싸워 세 번이나 패했으나, 제 환공(齊桓公)과 노 장공(魯莊公)이 회맹(會盟)을 할 적에 비수를 들고 가서 제 환공을 위협한 결과, 빼앗겼던 땅을 모두 되찾았던 고사가 있다. <史記 卷86 曹沫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