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계[朝啓]~조계[曹溪]~조계단압[操鷄摶鴨]~조계일작수[曹溪一勺水]
❏ 조계[朝啓] 아침에 대궐에 들어가 일을 아뢰던 것이다.
❏ 조계[曹溪] 불교 선종(禪宗)의 한 파인 조계종을 말함이다.
❏ 조계[曹溪] 중국 광동성 곡강현 동남쪽에서 발원하여 진수(溱水)로 흘러들어가는 물 이름이다. 당(唐)나라 때 선종(禪宗)의 육조(六祖) 혜능(慧能)이 보림사(寶林寺)를 세우고 불법(佛法)을 크게 일으킨 곳이다. 후대에는 흔히 절 주위에 흐르는 시냇물을 뜻하는 말로 쓰인다.
❏ 조계[曹溪] 중국(中國) 안휘성(安徽省)에 있는 물 이름이다. 전등록(傳燈錄)에 “양(梁) 나라의 중 지락(智樂)이 배를 타고 조계의 입구에 이르자 향취가 진동하므로, 그 물을 맛보고 ‘이 강(江) 상류에 승지(勝地)가 있다.’라고 하고, 터를 닦아 절을 세우고 보림사(寶林寺)라 명명하였다.[梁天監元年有僧智藥泛舶至韶州曹溪水口 聞其香嘗其味曰 此水上流有勝地 遂開山立名寶林]’ 그리고 이어 ‘앞으로 170년 뒤에 훌륭한 법사가 여기서 설법할 것이다.’라고 하였다.”고 하였다.
❏ 조계단압[操鷄摶鴨] 태봉(泰封) 말년에 당상(唐商) 왕창근(王昌瑾)이 궁예(弓裔)에게 바친 옛 거울에 새겨 있었다는 도참문(圖讖文) 중의 일절이다. 먼저 닭을 잡고 뒤에 오리를 친다는 것은 고려 태조 왕건이 먼저 계림을 정복하고 뒤에 압록강을 취하게 될 것을 예언한 것이다.
❏ 조계일작수[曹溪一勺水] 조계의 한 잔 물. 중국 선종(禪宗)의 제6조(祖)인 당(唐) 나라 혜능(慧能)이 조계산(曹溪山) 보림사(寶林寺)에서 선종의 이른바 남종(南宗)을 창시하였으므로, 선불교 수련의 궁극적 경지를 이야기할 때 인용하는 표현인데, 보통은 조계 일적(曹溪一滴)으로 많이 쓴다.
❏ 조계학[曹溪學] 중국 남방에 조계산(曹溪山)이 있는데, 선종(禪宗)의 육조(六祖)인 혜능(惠能)대사가 거기서 제자를 가르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