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정화[征和]~정화[菁華]~정회[貞悔]~제각형[蹄角瑩]
하늘구경
2020. 9. 19. 13:58
반응형
❏ 정화[征和] 한무제가 사용한 연호로 서기전 92년부터 89년 사이다. 한무제는 재위시 연호를 모두 10번을 바꿔 사용했다.
❏ 정화[菁華] 정화(精華)와 같은 말로 젊은 영기(英氣)를 말한다. 훌륭한 재덕(才德)을 지닌 사람. 사물 중의 가장 뛰어나고 화미한 부분을 말한다.
❏ 정회[貞悔] 주역(周易) 괘(卦)에 대하여 일컫는 말로 내괘(內卦)를 정(貞), 외괘(外卦)를 회(悔)라고 한다.
❏ 제[濟] 성(成).
❏ 제[禔] 양녕대군. 왕족은 성을 안 썼다.
❏ 제[齊] 이세민의 동생인 제왕(齊王) 이원길(李元吉)을 지칭한다. 이세민과 태자 이건성(李建成)이 제위 계승권을 다투는 중에서 태자 편에 섰다가 후에 현무문(玄武門)의 변란 때 울지공(尉遲恭)에게 죽임을 당하였다.
❏ 제[帝] 제곡(帝嚳). 고대 제왕(帝王)의 이름. 황제(黃帝)의 증손으로서 호를 고신씨(高辛氏)라 한다. 박(亳)에 도읍하였다.
❏ 제각형[蹄角瑩] 진(晉) 나라 왕군부(王君夫)는 사랑하는 소가 한 마리 있었는데, 발굽과 뿔을 늘 반들반들하게 하였다 한다.
❏ 제간공[齊簡公] 춘추 때 제나라 군주로써 기원전 484년에 즉위하여 481년에 전상국 전상에게 시해되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