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정구[庭衢]~정국[鄭國]~정기[鼎器]~정기의[正其誼]
하늘구경
2020. 9. 17. 12:24
반응형
❏ 정구[庭衢] 정구는 소요(逍遙)하는 뜨락과 길거리를 말한다. 죽림칠현(竹林七賢)의 한 사람인 진(晉) 나라 유령(劉伶)의 주덕송(酒德訟) 첫머리에 “대인 선생이 있었으니, 그는 천지개벽 이래의 시간을 하루아침으로 삼고, 천만년을 순간으로 여겼으며, 해와 달을 창문과 빗장으로 삼고, 광활한 천지를 뜨락과 길거리로 여겼다.”라는 구절이 나온다.
❏ 정국[鄭國] 정국공(鄭國公)에 봉해진 당(唐) 나라의 유명한 직신(直臣) 위징(魏徵)을 말한다.
❏ 정군산하중소혈[定軍山下中宵血] 제갈공명(諸葛孔明)이 오장원(五丈原)에서 위(魏) 나라 사마의(司馬懿)와 대치하다가 54세의 나이로 병사(病死)하여 정군산(定軍山)에 묻힌 것을 말한다. <三國志 卷35 蜀志 諸葛亮傳>
❏ 정군평[鄭君平] 군평(君平)은 정두경(鄭斗卿)의 자(字)이다.
❏ 정규지묵[庭珪之墨] 이정규(李庭珪)가 만든 먹은 천하의 진품(珍品)이었다.
❏ 정금남[鄭錦南] 금남은 정충신(鄭忠信)의 봉호(封號)이다.
❏ 정기[鼎器] 단약(丹藥)을 굽는 솥.
❏ 정기[正氣] 바른 기운. 일종의 심술(心術).
❏ 정기의[正其誼] 동중서(董仲舒)의 말에 “군자는 그 의(誼; 義)를 바루고 그 이(利)를 꾀하지 아니하며, 그 도(道)를 밝히고 그 공(功)을 헤아리지 아니한다.”라고 한 말이 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