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장후경[蔣詡逕]~장후만리사[張侯萬里槎]~장후삼경[蔣詡三逕]~재가출가[在家出家]
하늘구경
2020. 9. 10. 12:08
반응형
❏ 장후[張侯] 춘추 시대 진(晉)의 대부(大夫) 해장(解張)이다. <左傳 成公 二年>
❏ 장후경[蔣詡逕] 한(漢) 나라 장후(蔣詡)가 왕망(王莽) 정권 때 벼슬을 내놓고 향리에 은둔한 뒤, 집안의 대나무 밭 아래에 세 개의 오솔길을 내고는 오직 친구인 구중(求仲)과 양중(羊仲) 두 사람과만 종유(從遊)했던 고사가 전해 온다. <蒙求 上 蔣詡三逕>
❏ 장후경존내이중[蔣詡逕存來二仲] 은거해 사는 사람이 찾아온다는 뜻이다. 이중(二仲)은 한(漢) 나라의 양중(羊仲)과 구중(裘仲)이다. 한 나라 때 장후의 집에 세 개의 사잇길이 있었는데, 오직 양중과 구중만이 그를 따라 노닐었다고 한다. <初學記 卷18>
❏ 장후만리사[張侯萬里槎] 한(漢) 나라 장건이 뗏목을 타고 은하(銀河)에 올랐다. 실은 멀리 천산(天山) 길을 뚫어 서역에 가는 것을 말한다.
❏ 장후삼경[蔣詡三逕] 번잡한 도시 속에 숨어 사는 것도 가능하다는 말이다. 후한(後漢) 장후가 집 안에 세 갈래 오솔길을 만들어 놓고 오직 구중(求仲), 양중(羊仲) 두 사람과 노닐었던 고사가 있다. <三輔決錄 逃名>
❏ 재[纔] 겨우. 막.
❏ 재[宰] 고기를 썰어 나누어주는 사람.
❏ 재[齋] 불가(佛家)에서 한낮이 넘도록 굶는 것을 재(齋)라 하고, 그것을 반복하는 것을 장재(長齋)라고 한다. <般舟三昩經>
❏ 재가출가[在家出家] 집에 있어도 욕심이 없이 청정(淸淨)하면 집을 떠나 중이 된 것이나 같다는 말이다. <廬山蓮社雜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