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협가[長鋏歌]~장협운관[長鋏雲冠]~장협탄[長鋏彈]~장협풍환[長鋏馮驩]
❏ 장협가[長鋏歌] 불우한 처지를 한탄하며 돌아갈 것을 생각하는 노래이다. 제(齊) 나라 사람 풍훤(馮諼)이 맹상군(孟嘗君)의 식객으로 있을 때 장검으로 박자를 맞추면서 보다 나은 대우를 요구하는 노래를 불렀던 데에서 유래한다. <戰國策 齊策 4>
❏ 장협가[長鋏歌] 전국 시대 제(齊) 나라 사람 풍훤(馮諼)이 맹상군(孟嘗君)의 식객으로 있을 적에 칼자루를 치면서 불우한 처지를 호소했다는 노래이다. <史記 孟嘗君列傳>
❏ 장협비가[長鋏悲歌] 장검을 치며 슬프게 노래부른다는 것은 전국시대 제(齊)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 가운데 한 사람인 풍환(馮驩)이, 처음 맹상군을 찾아갔을 때 대접이 변변치 않자 장검을 치며 밥상에 고기가 없고 밖에 나다닐 때 수레가 없다는 뜻으로 노래를 불렀다는 데서 나온 것이다. <史記 卷八十二 孟嘗君傳>
❏ 장협운관[長鋏雲冠] 굴원(屈原)처럼 시름겹다는 뜻. 초사(楚辭) 구장(九章) 석송(惜誦)에 “허리에 장협을 길게 차고 머리에 절운관을 높이 썼네.[帶長鋏之陸離兮 冠切雲之崔]”라고 하였다.
❏ 장협탄[長鋏彈] 전국 시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인 풍환 (馮驩)이 풋나물만 먹이고 고기를 주지 않는 맹상군의 박대에 불평을 품고, 긴 칼을 두드리며 말하기를 “음식에 고기가 없으니 그만 돌아가자.”고 하였다. <史記 孟嘗君傳>
❏ 장협풍환[長鋏馮驩] 장협은 긴 칼을 이른 말인데, 전국 시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 풍환(豐驩)이 맹상군의 대우가 나쁜 데에 불만을 품고 “장협아, 돌아가자! 밥상에 고기가 없구나.”라고 노래하자, 맹상군이 고기 대접을 해 주었다는 데서 온 말이다. <戰國策 齊策>
❏ 장협화풍환[長鋏和馮驩] 객(客)을 잘 대접하는 주인을 한 번 만나보고 싶다는 뜻이다. 전국 시대 제(齊) 나라 맹상군(孟嘗君)의 식객(食客)인 풍환(馮驩)이 대접에 불만을 품고는 장협(長鋏 장검)에 기탁하여 노래를 부르며 뜻을 표현하자, 맹상군이 몇 번이나 그 욕구를 충족시켜 주었다는 고사가 전해 온다. <戰國策 齊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