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송풍일[長松風日]~장수[張䇓]~장수[漳水]~장수[藏脩]~장수동[張瘦銅]
❏ 장송풍일[長松風日] 소식이 일찍이 여산 백학관(白鶴觀)에서 노닐 때 관 안의 사람들은 다 문을 걸고 잠을 자는데 바둑 두는 소리가 고송 유수(古松流水)의 사이에서 들려오므로 시를 지어 이르기를 “五老峯前 白鶴遺址 長松蔭庭 風日淸美”라 하였다.
❏ 장수[張䇓] 원(元)의 도강(導江)사람이다. 왕백(王柏)에게서 배우고 종유자가 매우 많아 도강 선생(導江先生)이라고 불렀다. 그의 저서는 논리가 정확하고 전거가 분명했으며 논의가 종횡무진하여 오징(吳澄)은 그를 일러, 신안 주씨(新安朱氏)의 시축(尸祝)이라고 하였다. <元史 卷一百八十九>
❏ 장수[莊叟] 장수는 곧 장자(莊子)를 가리킨 말로, 장자의 저서에는 특히 인간의 생사(生死)에 관한 말이 많이 하였다.
❏ 장수[漳水] 장수는 물 이름으로, 삼국(三國) 시대 유정(劉楨)이 고질이 있어 이곳에 가서 요양을 했다 한다.
❏ 장수[藏脩] 조용한 곳에서 포부를 감추고, 공부를 닦는다는 말인데 예기(禮記)에서 나온 말이다.
❏ 장수거지어[莊叟詎知魚] 장자(莊子)가 혜자(惠子)와 함께 호량(濠梁)에서 고기가 노는 것을 보다가 말하기를 “피라미[鯈魚]가 조용히 나와 노니 이것은 고기의 낙(樂)이로다.”라고 하니, 혜자가 말하기를 “자네가 고기가 아닌데 어찌 고기의 낙을 아는가.”라고 하였다. 장자는 “자네는 내가 아닌데 내가 고기의 낙을 아는지 모르는지를 어찌 아는가.”라 하였다. 장자(莊子)
❏ 장수동[張瘦銅] 수동은 장훈(張塤)의 호인데 청 나라 오현(吳縣) 사람으로 자는 상언(商言)이다. 건륭 때 진사로 벼슬은 내각중서(內閣中書)이다. 저술로는 죽엽암집(竹葉庵集)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