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자죽[慈竹]~자중지란[自中之亂]~자지[刺紙]~자지가[紫芝歌]
하늘구경
2020. 9. 4. 12:27
반응형
❏ 자죽[慈竹] 대나무 이름으로, 의죽(義竹)·자효죽(慈孝竹)·자모죽(子母竹)이라고도 한다. 사계절 죽순이 나오고 새대와 묵은대가 빽빽하게 어우러져 노소(老少)가 서로 의지한 것 같다는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 자중지란[自中之亂] 자기 안에서의 어지러움. 같은 패 안에서 일어나는 싸움, 제 편끼리 하는 다툼.
❏ 자지[紫芝] 사호(四皓)가 상산(商山)에 숨어 있을 때에 “빛나는 붉은 지초는 가히 요기할 만하도다.[燁燁紫芝 可以療飢]”라는 노래를 지어서 불렀다.
❏ 자지[紫芝] 자지는 탁행(卓行)으로 뛰어난 당 나라 사람 원덕수(元德秀)의 자이다.
❏ 자지[刺紙] 지금의 명함(名啣)과 같다.
❏ 자지가[紫芝歌] 상산(商山)의 사호(四皓)가 진(秦)의 난을 피하여 남전산(藍田山)에 들어가 은거하면서, 한 고조(漢高祖)의 초빙에도 응하지 않고 이 자지가(紫芝歌)를 불렀다고 한다. ‘채지조(採芝操)’라고도 한다. 그 가사에 “막막한 상락(商洛) 땅에 깊은 골짜기 완만하니, 밝고 환한 자지(紫芝)로 주림을 달랠 만하도다. 황제(黃帝)와 신농씨(神農氏)의 시대 아득하니, 내 장차 어디로 돌아갈거나. 사마(駟馬)가 끄는 높은 수레는 그 근심 매우 크나니, 부귀를 누리며 남을 두려워하느니 차라리 빈천하더라도 세상을 깔보며 살리라.”라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