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입해동[入海童]~입향순속[入鄕循俗]~잉신[媵臣]~잉여[媵予]~잉첩[媵妾]

하늘구경 2020. 9. 1. 13:51
반응형

입해동[入海童] 진시황(秦始皇)이 동해 바다에 있는 삼신산(三神山)으로 장생 불사약을 구하기 위해 보낸 동자를 가리킨다.

입향순속[入鄕循俗] 그 고장에 가서는 그 고장 풍속에 따르는 것을 이른다. <회남자/장자>

[] 군더더기란 뜻.

잉불역[仍弗驛] 경주(慶州) 남방 55리 잉보[仍甫] 역을 말한다.

잉신[媵臣] 신부를 따라가는 신복(臣僕)을 말한다.

잉여[媵予] 나를 전송하다.

잉첩[媵妾] 시집가는 데 딸려보내는 여자. 또는 그 시녀(侍女).

[] 이름[]을 중히 여겨 함부로 부르지 않는 관습에서 장가든 후에 부르기 위해 짓는 이름에 준하는 것이다.

[] 인절미.

[] 자신의 아들을 일컬을 때; 가돈(家豚), 가아(家兒), 돈아(豚兒), 미돈(迷豚), 미식(迷息), 미아(迷兒). 남의 아들을 일컬을 때 ; 영식(令息), 영랑(令郞), 영윤(令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