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임성유[衽成帷]~임순[紝紃]~임심리박[臨深履薄]~임안[臨安]
하늘구경
2020. 9. 1. 13:32
반응형
❏ 임성유[衽成帷] 옛날에 소진(蘇秦)이 사람이 많았으므로, 과장적 표현으로 이런 말이 있었다.
❏ 임숙영[任叔英] 조선조의 문신으로 자는 무숙(茂叔), 호는 소암(疏庵). 인조 때에 지평(持平)을 지냈고, 문장이 뛰어나고 경사(經史)에 밝았다.
❏ 임순[紝紃] 길쌈과 바느질. 예기(禮記) 내칙(內則)에 “베를 짜고 실을 꼬며 여자의 일을 배워 의복을 마련한다.[織紝組紃 學女事 共衣服]”고 하였다.
❏ 임시방편[臨時方便] 때에 임하여 쓰는 방법과 수단. 그때 그때의 형편에 따라서 일을 처리하는 수단이나 방법.
❏ 임시변통[臨時變通] 그때 그때의 상황의 변화에 따라 융통성 있게 일을 처리함.
❏ 임심리박[臨深履薄] 깊은 못가에 임한 듯 얇은 얼음을 밟은 듯 모든 일에 조심함을 말한다. <詩經 小雅 小旻>
❏ 임안[臨安] 현재의 절강성(浙江省) 항주시(杭州市)로 오계(五季) 때 오월왕(吳越王) 전류(錢鏐)가 이곳에 도읍을 세웠으며 송(宋)의 문장가 소식(蘇軾)이 이곳에 오래 있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