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판향[一瓣香]~일패도지[一敗塗地]~일패천기[一敗天棄]~일폭십한[一暴十寒]
❏ 일판향[一瓣香] 일주향(一炷香)과 같은 말로서 스승의 연원을 계승하는 것. 불교 선종(禪宗)에서 장로(長老)가 법당을 열고 도를 강할 때에 향을 피워 제삼주향(第三炷香)에 이르면 장로가 “이 일판향을 나에게 도법(道法)을 전수해 주신 아무 법사(法師)에게 삼가 바칩니다.”라고 말하는 데서 인용한 것이다.
❏ 일판향[一瓣香] 화판(花瓣) 모양의 향(香)으로, 존경하는 어른을 흠앙(欽仰)할 때 사용한다. <祖庭事苑>
❏ 일패도지[一敗塗地] 싸움에 한 번 패하여 간(肝)과 뇌(腦)가 땅바닥에 으깨어진다는 뜻으로, 여지없이 패하여 다시 일어날 수 없게 됨을 일컫는다. 간뇌도지(肝腦塗地).
❏ 일패용기[日旆龍旗] 임금의 깃발에 해와 용을 그린 것을 말한다.
❏ 일패천기[一敗天棄] 항우가 탈출하여 도망가다가 따라가던 부하에게 “내가 70번 싸움에 패하여 본 일이 없는데, 마지막에 이렇게 된 것은 하늘이 나를 망침이요, 싸움 잘못한 죄가 아니로다.”라고 하였다.
❏ 일편단심[一片丹心] 변치 않을 한 조각 붉은 마음. 곧, 충성(忠誠)된 마음. 참된 정성(精誠).
❏ 일편만촉각[一片蠻觸角] 달팽이 두 뿔에 만(蠻)이란 나라와 촉(觸)이란 나라가 있어, 서로 싸워서 송장을 백만이나 내었다. <莊子>
❏ 일폭십한[一暴十寒] 열흘 춥고 하루 햇볕 쬔다는 뜻으로 일이 중간에 끊임이 많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학문의 작철(作輟)이 무상함을 비유한 것이다. 맹자(孟子) 고자 상(告子上)에 “비록 천하에 잘 사는 물건이 있을지라도 하루쯤 쬐이고 열흘쯤 추위에 시달리면 사는 일이 없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