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일옹운[一甕雲]~일우명지[一牛鳴地]~일원[一元]~일월춘풍[一月春風]
하늘구경
2020. 8. 30. 14:37
반응형
❏ 일옹운[一甕雲] 야외에서 술을 마실 때면 술동이에 구름 그림자가 비치는 것을 말한다.
❏ 일용우[一龍友] 화흠(華歆)·병원(邴原)·관녕(管寧) 세 사람이 절친한 벗이었으므로 그때 사람들이 흠을 용의 머리, 원을 용의 배, 녕을 용의 꼬리라 칭했다. <魏略>
❏ 일우명지[一牛鳴地] 소의 우는 소리가 들릴 만한 가까운 거리를 말한다.
❏ 일운[日暈] 해무리
❏ 일운훈호명[逸韻塤箎鳴] 질나팔과 저를 부는 형과 동생처럼 화기애애하게 잘 조화된 것을 말한다. <詩經 小雅 何人斯>
❏ 일원[一元] 12만 9600년을 가리키며, 이것을 다시 십이지(十二支)로 나누어 회(會)마다 각각 1만 800년씩 배정하는바, 자회(子會)에서 하늘이 처음 열리고 축회(丑會)에서 땅이 열리고 인회(寅會)에서 사람과 물건이 생겨났다고 한다. 여기서는 태고 시대의 순박한 시절을 가리킨 것이다. <皇極經世書 卷四 觀物內篇>
❏ 일원[一元] 천지 만물을 생성(生成)시키는 한 원기란 말이다.
❏ 일월[日月] 일월상(日月相)의 준말로, 즉 임금의 상(相)을 뜻한다.
❏ 일월춘풍[一月春風] 주광정(朱光庭)이 처음 정명도(程明道)에게 배우고 돌아와서 사람에게 말하기를 “한 달을 봄바람 속에 앉아 있었다.”고 하였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