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일변[日邊]~일보불양[一步不讓]~일부[一夫]~일부이미[一稃二米]
하늘구경
2020. 8. 29. 22:26
반응형
❏ 일변[日邊] 경성(京城)의 별칭이다. 동진(東晉)의 명제(明帝)가 어렸을 적에 부왕인 원제(元帝)로부터 장안(長安)과 해[日] 중에 어떤 것이 거리가 먼지 물음을 받고 대답한 고사에서 유래한 것이다. <世說新語 夙惠>
❏ 일변[日邊] 천자의 곁이란 말이다.
❏ 일병위전석[一病違銓席] 전조(銓曹), 즉 이조(吏曹)의 참판(參判)으로 있다가 병이 들었다는 말이다.
❏ 일보불양[一步不讓] 남에게 한 걸음도 양보(讓步)하지 않음을 이른다.
❏ 일부[一夫] 은왕(殷王) 주(紂)가 포악한 정치를 하므로 주무왕(周武王)이 쳐서 죽였는데, 뒤에 맹자(孟子)가 말하기를 “주(紂)가 민심을 잃었으니 일부(一夫)요, 임금이 아니므로 죽임이 옳다.”고 하였다.
❏ 일부이미[一稃二米] 검은 기장을 이른다. 시경(詩經) 대아(大雅) 생민(生民)의 “維秬維秠”에 대한 주희(朱熹)의 전(傳)에 “거(秬)는 검은 기장을 말하고, 비(秠)는 검은 기장으로서 한 껍데기에 두 톨의 알이 들어 있는 것을 가리킨다.”고 하였다.
❏ 일부일처[一夫一妻] 한 남편에 한 아내만 있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