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인대양중천[人戴兩重天]~인대연각[麟臺煙閣]~인린[嶙嶙]~인마[引馬]
하늘구경
2020. 8. 27. 10:44
반응형
❏ 인대[麟臺] 한(漢) 나라 선제(宣帝)가 공신(功臣) 11인의 초상화를 걸어 놓았던 기린각(麒麟閣)을 가리킨다.
❏ 인대양중천[人戴兩重天] 관찰사로 인자한 정치를 실행하면 백성들이 원래 있는 하늘과 새로 하늘같이 덮어 주는 관찰사와 두 개의 하늘이 된다는 뜻이다.
❏ 인대연각[麟臺煙閣] 기린각에는 한 선제(漢宣帝)가 공신 곽광(霍光)·장안세(張安世) 등 14명의 화상을 그려두었고, 능연각에는 당 태종(唐太宗)이 공신 장손무기(長孫無忌)·두여회(杜如晦)·위징(魏徵) 등 12명의 화상을 그려 두었다.
❏ 인류기인[人類起寅] 하늘은 자(子)에 생기고, 땅은 축(丑)에 생기고, 사람은 인(寅)에 생겼다는 옛말이 있다.
❏ 인린[嶙嶙] 높기도 하고 낮기도 하여 평평하지 않은 모양.
❏ 인린[隣隣] 무리가 많은 모양.
❏ 인린[轔轔] 수레의 소리.
❏ 인마[引馬] 직접 수레를 끄는 말 이외에 멍에를 메우지 않고 곁에서 수레를 끄는 말을 돕는 말을 이른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