옛글[古典]산책/옛글사전
이지[李志]~이지[梨旨]~이지측해[以指測海]~이책인지심책기[以責人之心責己]
하늘구경
2020. 8. 26. 11:44
반응형
❏ 이지[李志] 이지는 옛날 글씨를 잘 썼던 사람이나 인품이 워낙 모자라서 글씨가 후세에 전하지 않았다는 고사가 있다.
❏ 이지[李志] 후위(後魏) 사람으로 박학다재(博學多才)하였는데, 형주 자사(荊州刺史)로 있다가 건의(建義) 초에 반기(叛旗)를 들고는 양(梁) 나라로 도망쳐 들어갔다. <魏書 卷49>
❏ 이지[李禔] 조선 태종(太宗)의 세자 지(禔). 양녕대군(讓寧大君)이다.
❏ 이지[梨旨] 하양(河陽)의 고호이다. 이지는 본시 영주(永州)의 이지은소(梨旨銀所)인데 고려 말에 승격하여 현을 만들어 영주에 소속시켰다가 이 태조(李太祖) 때에 폐현이 되고 화양으로 소속되었다.
❏ 이지측해[以指測海] 손가락을 가지고 바다의 깊이를 잰다. 양(量)을 모르는 어리석음을 가리키는 말이다.
❏ 이진서[李珍書] 이진은 본초강목(本草綱目)을 찬한 명(明) 나라 이시진(李時珍)을 이른다. 본초강목에서 농어를 아주 훌륭한 고기로 소개해 놓았기 때문에, 이전에 하찮게 여겼던 농어를 새삼 귀중히 여기게 되었다.
❏ 이징[李澄] 화가로, 안견(安堅)풍의 착색화(着色畫)를 많이 그렸다.
❏ 이책인지심책기[以責人之心責己] 남을 꾸짖는 마음으로 자기를 꾸짖어라.
❏ 이척[伊陟] 은(殷) 나라 이윤(伊尹)의 아들로서 태무 때의 현상(賢相)이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