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십사절[二十四節]~이십팔괘[二十八卦]~이십팔수[二十八宿]~이씨산방[李氏山房]
❏ 이십사절[二十四節] 24절기를 말한다. 즉 입춘(立春), 우수(雨水), 경칩(驚蟄), 춘분(春分), 청명(淸明), 곡우(穀雨), 입하(立夏), 소만(小滿), 망종(芒種), 하지(夏至), 소서(小暑), 대서(大暑), 입추(立秋), 처서(處暑), 백로(白露), 추분(秋分), 한로(寒露), 상강(霜降), 입동(立冬), 소설(小雪), 대설(大雪), 동지(冬至), 소한(小寒), 대한(大寒) 등이다.
❏ 이십팔괘[二十八卦] 주역(周易) 64괘(六十四卦)의 3분의 1인 28괘의 괘자(卦字)를 구(句)마다 넣어서 28구(句)의 시를 지었는데, 구마다 괘자를 표시하였다.
❏ 이십팔수[二十八宿] 옛날 중국에서 해, 달, 별 등의 소재를 밝히기 위해 황도(黃道)에 따라 천구(天球)를 스물여덟으로 구분한 것으로, 동쪽 분야의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 북쪽 분야의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 서쪽 분야의 규(奎)·누(婁)·위(胃)·묘(昴)·필(畢)·자(觜)·삼(參), 남쪽 분야의 정(井)·귀(鬼)·유(柳)·성(星)·장(張)·익(翼)·진(軫) 등의 별자리를 가리킨다.
❏ 이십팔수체[二十八宿體] 각(角), 항(亢), 저(氐), 방(房), 심(心), 미(尾), 기(箕), 두(斗), 우(牛), 여(女), 허(虛), 위(危), 실(室), 벽(壁), 규(奎), 누(婁), 위(胃), 묘(昴), 필(畢), 자(觜), 삼(參), 정(井), 귀(鬼), 유(柳), 성(星), 장(張), 익(翼), 진(軫) 등 이십팔수의 글자를 한 구에 한 자씩 넣어서 짓는 시를 말한다.
❏ 이씨산방[李氏山房] 송(宋) 나라 때 이상(李常)이 여산(廬山)의 백석승사(白石僧舍)에 만 권의 장서를 쌓아 두고는 이씨산방이라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