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심전심[以心傳心]~이십번풍[二十番風]~이십사교[二十四橋]~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 이심전심[以心傳心] 마음으로써 마음에 전한다. 깊고 깊은 이치는 말로는 다 풀 수 없고 마음속으로 깨달아야 한다. 서로의 처지나 생각을 말을 통하지 않고서도 이해한다. 심심상인(心心相印). 교외별전(敎外別傳). 불립문자(不立文字). 염화미소(拈華微笑). 염화시중(拈華示衆).
❏ 이십년전봉백리[二十年前逢百罹] 시경(詩經) 왕풍(王風) 토원(兎爰)에서 온 말로, 시경의 본뜻은 소인들이 득세함으로써 정직한 사람이 화를 입는 것을 노래하였다.
❏ 이십번풍[二十番風] 꽃소식인 이십사번 화신풍(二十四番花信風)을 말한다. 한 달이면 기(氣)가 둘, 후(候)가 여섯으로 소한(小寒)에서부터 곡우(穀雨)까지 4개월에 걸쳐 모두 24후로서 5일마다 한 후씩 계산하여 꽃 한 가지에 해당시키는 방법이다. <焦氏筆乘>
❏ 이십사고[二十四考] 당(唐) 나라 때의 명장 곽자의(郭子儀)가 중서령(中書令)으로 고시(考試)를 스물 네 번이나 주관했던 것을 말한다.
❏ 이십사교[二十四橋] 중국의 화려한 양주(楊洲)에 24교(二十四橋)가 있다.
❏ 이십사교명월[二十四橋明月] 양주(楊州)의 아름다움을 말하는 ‘이십사교 밝은 달밤[二十四橋明月夜]’이라는 시가 있다.
❏ 이십사번풍[二十四番風] 이십사번 화신풍(二十四番花信風)을 말한 것이다. 바람이 꽃피는 시기에 맞추어 불어오는데, 한 달을 2기(氣) 6후(候)로 나누어, 소한(小寒) 때부터 곡우(穀雨)까지 4개월 동안에 8기 24후가 된다.
❏ 이십사시품[二十四詩品] 당 나라 사공도(司空圖)가 지은 글로서 시의 품격을 스물 넷으로 나누어 논한 것이다.